Structure and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Mt. Kaya

가야산(伽倻山) 소나무(Pinus densiflora)군락(群落)의 구조(構造) 및 동태(動態)

  • Received : 1995.12.01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Structure and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Mt. Kaya were studi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for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the southern inland of Korea. Stratification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lower and middle slope consisted of tree layer(10~15m), subtree layer(4~10m), shrub layer(1~4m), and herb layer(below 1m), while in the rock zone of ridge and top area consisted of tree layer(7~10m), subtree layer(2~7m), shrub layer(1~2m), and herb layer(below 1m). According to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in Pinus densiflora community, secondary Pinus densiflora forest will gradually decline. Its forest may be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C. cordata, and Fraxinus rhychophylla in the lower slope, and by Quercus mongolica in the middle slope. Pinus densiflora forest has its seedlings and saplings in ridge and top area, so it may be sustained. By taking cores from Pinus densiflora trees in research area, it could be obtained that in the lower and middle slope, age of Pinus densiflora forest was about 80~90 years old. When the age of its trees was about 72~80 years old, withering trees of standing dead occurred. Disturbance regim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Mt. Kaya consisted of standing dead, uprooting and limbfall, these were 70.6%, 17.6% and 11.8% respectively. It takes about 100~110 years for advance growth of Pinus densiflora in ridge and top area to reach tree layer. During the period, it has twice chances of disturbance in standing dead. Annual diameter growth of Pinus densiflora was 2.45~2.9mm in the lower and middle slope, while it was 1.75mm in ridge and top region, by measuring cores.

가야산 일대의 소나무림을 통하여 우리나라 남부내륙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의 임업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소나무군락의 구조 및 동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사면중하부에 분포하는 소나무 이차림의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각 계층의 높이는 9~15m, 4~10m, 1~4m, 1m이하로 구분되었으며, 능선과 정상부 소나무림의 경우는 9~10m, 2~7m, 1~2m, 1m이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직경급 분포로 볼 때 소나무 이차림의 경우 사면하부(해발 450m)는 신갈나무, 서어나무, 졸참나무, 까치박달, 물푸레나무로, 사면중부(해발 700~800m)는 신갈나무로 천이가 진행되어 현재의 소나무 이차림은 쇠퇴하여 갈 것으로 예상된다. 능선부와 정상부의 소나무림은 소나무 치묘 및 치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지의 연륜심을 통하여 볼 때 사면중하부에 분포하는 소나무 이차림은 임령이 80~90년이었으며, 수령 72~80년 무렵에 standing dead형의 소나무 고사목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었다. 가야산의 소나무림 교란 체세는 standing dead, uprooting, limbfall로 구분되고 이는 각각 70.6%, 7.6%, 11.8%이었다. 능선과 정상부의 소나무 전생수(前生樹)(advance growth)는 수령 100~110년의 상층수관에 이르기까지 standing dead형의 교란 기회를 2번 정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장축방향의 연륜생장에 있어 사면중하부의 소나무는 2.45~2.9mm/year, 능선과 정상부는 1.75mm/year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