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Impacts of Urban Transportation

도시교통의 사회적 영향

  • Noh, Shi-Hak (Department of Gography, Kyounghee University)
  • Published : 1996.12.31

Abstract

It is well agreed that transportation is not the end by itself, rather it is a means to achieve other goal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ly, various social impacts of transportation systems, such as destruction of community social life of urban residents, separation of community area, and accessibility restriction on the transportation handicapped, which can deteriora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the process of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The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of Korea which emphasizes too much on the of efficiency objectives of transportation, however, have neglected greatly the social sides of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This paper discusses major social impacts of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in Korea and proposes several research fields related to the social impacts of urban transportation.

경제적 효율성의 추구를 최고의 목표로 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생산과 소비의 과정은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수행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통행에 소요되는 시간은 일종의 '낭비'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통행은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가용 등 차량에 의한 통행이 선호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차량통행의 증가 특히 자가용 통행의 증가와 이에 따른 차량위주의 도시교통체계는 여러가지 형태의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특히 차량통행의 증가에 따른 지역사회의 황폐화, 계층간 접근성 및 이동성의 차등화 등의 측면에서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교통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영향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교통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사회적 영향들의 형태와 이에 따른 문제점들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