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atus and Prospect of GIS Learning in Teaching Geography of High School

고등학교 지리학습에서 GIS 교육의 현황과 전망

  • Hwang, Sang-Il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Kum-Sam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6.12.31

Abstract

The aim here is to analyse the system of description of GIS in all of the high school textbooks passed with the official approval, to find the degree to which teachers understand about GIS, and to consider the present condition of GIS instruction. Most of the authors of textbooks generally underestimate importance of GIS, and there is difference among their awareness. In the system of description of GIS, there are only a few kinds of textbooks in which explanation of GIS is made coherently from the purpose of instruction aim through the chapter summary and to overall test in both of the Korean Geography and the World Geography. This trend is due to the degree of distribution of the GIS specialists in writing a textbook while the other texts books shows just a brief introduction of GIS concept. Although there is the limit for teachers to study how to teach GIS due to its very technological aspect as well as few previous training and teacher's guide. Thus it is evident that about a half of teachers who responded taught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a knowledge on GIS, and a few of them even never referred to that concept. These facts may negatively affect the status of a geography in the society of information. For the solution of these issues, it is considered how to repair the description system and its contents. Besides, the variation among textbooks is reduced at the further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printed matters of GIS are sufficiently provided for the teachers to use as their teaching aids. It is desirable that the GIS instruction model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for college education, and the programs for the on-the-job teachers training should be arranged. Besides, the previous training for the on-the-job teachers should be achieved more practically with enough time before the revision of curriculum.

본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개편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에 새로 도입된 GIS 부분에 대하여 검정을 통과한 모든 교과서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기술체계(記述體系)를 분석하고, 일선학교 교사들의 GIS에 대한 이해정도와 수업현황을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 저자들은 GIS에 대해서 대체로 그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그들 사이에도 인식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GIS 부분 기술체계는 한국지리와 세계지리에서 각각 3종만이 목표제시에서부터 단원정리 내지 총괄평가까지 일관성 있게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공동 저자들 중 GIS 전공자가 포함된 경우, 이 부분에 비중을 상대적으로 높게 잡았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용어소개 정도에 그쳐 분량이나 체계에서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GIS부분은 기술적(技術的) 측면이 강한 내용이어서 교사들이 스스로 연구해서 수업에 임하는 데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전연수가 불충분했고, 교사용 지침서도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막연히 잘 모르는 상황에서 수업에 임한 교사가 설문응답자 중 약 절반에 달하며, 비록 소수이긴 하지만 전혀 언급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정보화사회에서 지리교과의 위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차 제7차 교육과정개편에서는 보다 세심한 지침을 확립하여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기술체계(記述體系) 및 내용을 보완하고, 교과서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와 지리부도에 GIS 출력물들을 충분히 실어 교사들이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할 것이다. 각 대학에서는 GIS에 대한 대학차원의 수업모델 개발뿐만 아니라, 현직교사들의 재교육을 위한 연수과정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교과과정의 개편 이전에 충분한 기간을 통하여 일선교사들에 대한 사전연수가 실질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