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f 52 Patients with Myasthenia Gravis Syndrome

중증 근무력증 5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 Park, Gun-Ju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ah, Jung-San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u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Do, Hyun-Cheol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Seung-Kweu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uh, Sang-Du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ee, Byung-Soo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Jin-Kook (Kim's Neurology Clinic)
  • 박건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하정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이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도현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박승권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서상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기병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김진국 (김진국 신경과의원)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The authors experienced 52 patients with myasthenia gravis who were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Neurology, Yeungnarn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85 to January 1996.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diagnostic evaluation and treatment.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1.7 and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second decade. 2. The most common initial presentation symptom was ocular(71.2%) and the peak incidence group was stage I (69.3%) according to the modified Osserman's classification. 3. In 16 patients(30.8%), it took more than a year to diagnose due to symptoms which were relapsed and remitting. 4. Of 52 patients, 2 cases were associated with thyroid disease(3.8%) and 2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3.8%). 5. All of those who received anticholinesterase and corticosteroid therapy were improved with the exception of 5 cases which were improved after thymectomy and/or plasmapheresis. 6. Spontaneous remission was occured in 2 cases(3.8%) of ocular myasthenia gravis. And 1 case of group II. was cured through thymectomy and long-term corticosteroid therapy.

1985년 8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중증 근무력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5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환자 중 남자가 19례(35.8%), 여자가 33례(64.2%)이었고 11세에서 20세 사이가 12례 (23%)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환자의 초기 증상으로는 안검하수, 복시 등의 안구증상이 37례(71.2%)로 가장 많았고 modified Osserman의 분류에 따라서도 가장 증상이 가볍고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는 I군이 36례(69.3%)로 가장 많았다. 3. 환자가 호소하는 중상의 비특이성과 회복과 재발을 거듭하는 질병의 특성으로 인해 발병 이후 진단될 때까지의 시간은 비교적 오래 걸렸고 1년이상 경과하며 진단된 경우도 16례(30.8%)나 되었다. 4. 자가면역질환이 7.6%에서 동반되었는데 갑상선기능 항진증이 2례(3.8%), 인슐린의존형 당뇨 2례(3.8%)였고 종격동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에서 흉선의 비대가 의심되었던 환자는 6례(11.5%), 흉선종이 발견되었던 경우는 3례였다. 5. 환자의 치료는 대부분 항콜린에스테라제나 부선피질호르몬을 병용하는 내과적 치료를 하였으며 약물의 치료에 반응이 미비하거나 악화되는 경우 혹은 종격동 전산화 단층촬영 상에서 흉선의 이상 소견이 보인 경우에 2례(3.9%)에서는 흉선절제술이, 1례(1.9%)에서는 혈장여과요법이 추가되었고 흉선절제술과 혈장여과요법이 같이 병합 치료된 경우도 3례(5.9%) 있었다. 6. 전체 환자중 2명에서 자연치유의 경과를 보였으며 이들은 모두 I군이였다. 그리고 흉선절제술과 부신피질 호르몬 투여로 완치된 예가 1례였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