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bicidal Respons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kyllinga(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Propagules

파대가리(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번식기관의 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

  • Received : 1996.06.20
  • Published : 1996.12.30

Abstract

In this study,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herbicidal response of green kyllinga(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were investigated. The storage method desirable for a rapid dormancy release was to keep the seed under low temp. and wetting condition for one to two months, or high temp($40^{\circ}C$) and drying condition for three months. The dormancy of rhizome was hardly observe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germination of seed and rhizome was around $30^{\circ}C$ and 16-$20^{\circ}C$, repectively. The germination of dormancy-breaked seed was completely dependent on light. Shoot emergence ratio(%)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planting depth ; for example, only 18% of rhizome segments planted in the depth of 4cm under soil surface emerged above soil surface. Flooding at earlier growth stage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in shoot emergence as well as in dry weight. The germinablity of rhizome was almost lost as a decreased in fresh weight reached to 50%. Usually, green kyllinga was sensitive to herbicides such as bentazone, bensulfuron and benfuresate etc. which were known to be effective in Cyperaceae weeds, indicating that green kyllinga can be used as a representative plant in the screening of herbicides for Cyperus weeds.

파대가리를 스크리닝 실험재료로 이용하거나 자연조건에서의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고자 번식기관의 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1. 파대가리 휴면타파(休眠打破)에는 저온습윤과 고온건조가 효과적이었으며 저온습윤 조건에서는 1-2 개월 저장으로, $40^{\circ}C$ 고온에 저장할 경우는 3개월째 이상의 저장이 필요하였다. 근경(根莖)의 경우는 휴면(休眠)이 없거나 매우 낮았다. 파대가리 종자의 발아최적온도는 $30^{\circ}C$ 내외인 반면에 근경(根莖)의 경우는 16-$20^{\circ}C$ 범위로서 두 번식 기관간에 다른 온도반응을 보였으며 종자의 발아에는 광(光)이 요구되었다. 2. 근경(根莖)이 3cm 깊이에 심겨 있으면 번식정도가 50% 정도 감소되었으며 4cm 에서는 80% 이상 감소되었다. 파종당시에 담수처리(湛水處理)된 번식기관은 전혀 발아되지 못하였다. 생육중에 담수처리(湛水處理)를 할 경우 근경(根莖)으로부터 나온 유묘(幼苗)는 잎이 물속에 담겨 있을지라도 어느 정도 생육이 되었지만 종자로부터 나온 유묘(幼苗)는 더 이상 생육하지 못하였다. 근경(根莖)의 생체중 감소가 50% 이상 될 정도로 건조되면 출아력(出芽力)이 상실되는 경향이었다. 3. 처리된 약제들중 토양처리효과가 비교적 뚜렷한 것은 amitrole, DTP, fluridone, bensulfuron 등이었고, 경엽처리효과가 양호한 것은 fluridone, bentazone, benfuresate, bensulfuron 등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