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Assessment and Application in Chemical Plants Using Fault Tree Analysis

FTA를 이용한 화학공장의 위험성 평가 및 응용

  • Kim Yun-Hwa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Kim Ky-Soo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Yoon Sung-Ryul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Um Sung-In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Ko Jae-Wook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김윤화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 김기수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 윤성렬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 엄성인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 고재욱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accident in chemical plants from the analysis of system component which affects the occurrence of top event. Among the various risk assessment techniques, the Fault Tree Analysis which approaches deductively on the route of accident development was used in this study. By gate-by-gate method and minimal cut set,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hazards in plants was performe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and frequency of top event was calculated from failure or reliability data of system components at stage of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conclusion, the probability of accident was estimated according to logic pattern based on the Fault Tree Analysis. And the failure path which mostly influences on the occurrence of top event was found from Importance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위험성 평가 방법중에서 사고의 발생 경위를 연역적으로 추론해 나가는 이상 트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사상을 일으킬 수 있는 시스템 요소들의 파악으로부터 화학공장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산정하였다. Gate-by-gate 방법과 최소 컷 ? 방법을 이용하여 공장내 존재하는 잠재위험에 대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정량적인 위험성 평가 단계에서는 시스템 요소의 고장률 또는 신뢰율 자료로부터 정상사상의 사고 발생 확률 및 빈도를 계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상 트리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시스템/공정의 사고 발생확률을 논리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었으며, 중요도 분석을 이용하여 정상 사상이 발생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손실 경로를 확인하여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