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as Natural Food Colorants

천연색소로서 한국산 유색미 안토시아닌의 안정성 연구

  • Yoon, Joo-Mi (Department of Genetic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 Cho, Man-Ho (Department of Genetic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 Hahn, Tae-Ryong (Department of Genetic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 Paik, Young-Sook (Department of Chemistry, Kyung Hee University) ;
  • Yoon, Hye-Hy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7.04.01

Abstract

The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was investigated at various conditions of pH, temperature, metal ion, sugar, organic acid and light. The anthocyanin pigments were relatively stable with half-lives of 36 days (pH 2.0) and 17 days (pH 3.0), while they were decomposed in a day at neutral and basic pH of 7.0 and 9.0 at $25^{\circ}C$. The anthocyanins also showed high thermal stability at pH 3.0; the half-lives were 7.4 hr, 23.6 hr and 96.3 hr at $95^{\circ}C,\;75^{\circ}C\;and\;50^{\circ}$, respectively. Addition of di- and tri-valent metal ions at pH 3.0 resulted in the increase of color intensity and stability throughout 21 days of storage periods at $25^{\circ}C$. Most sugars added accelerated the degrad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so that fructose showed the greatest degradation effect on the pigments. Addition of citric acid at pH 3.0 increased stability of anthocyanins, while tartaric acid decreased stability. The anthocyanins were very sensitive on light irradiation with a degradation half-life of 14 hr under 20,000 lux-light dosage at pH 3.0.

유용한 천연색소원으로서, 한국산 유색미에서 안토시아닌을 분리하여 pH, 온도, 금속이온, 당 및 유기산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몇가지 pH 조건에서 21일간 저장하였을 때, pH 2.0와 pH 3.0에서는 안토시아닌의 반감기가 약 36일과 17일로 나타났으며 중성과 염기성 pH에서는 하루 이내에 거의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나 산성조건의 식품에서는 안정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온도의 영향에 대한 실험 결과, 반감기가 $95^{\circ}C$에서 7.4시간(pH 3.0)과 0.17시간(pH 9.0), $75^{\circ}C$에서 23.6시간(pH 3.0), 0.57시간(pH 9.0), $50^{\circ}C$에서는 96.3시간(pH 3.0), 1.7시간(pH 9.0)으로 산성조건에서는 열에 대해서도 비교적 안정하였다. 금속이온 첨가에 따른 농색화 효과는 1가, 2가, 3가로 갈수록 높아졌으며 농도가 10 mM보다 100 mM 첨가시 더 높은 흡광도를 보였고, 2가이상의 금속이온들은 대부분 높은 안정화 효과를 보였다. 당 농도의 경우 단당류는 0.1 M, 이당류는 0.15 M 일때가 가장 높은 농색화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저장하는 동안 fructose가 안토시아닌 분해를 가장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당 첨가군은 모두 대조군보다 낮은 색소 잔존량을 보여주었다. 유기산 용액의 pH를 3.0으로 고정하여 몇가지 유기산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itric acid가 가장 농색화 및 안정화 효과가 있었으며, tartaric acid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불안정하였다. 20,000 lux의 빛에 노출시켜 빛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유색미 안토시아닌의 반감기가 약 14시간으로 나타나 빛에 매우 민감함을 알 수 있었다.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histidine, leucine, alanine 등으로서 일반토하젓에서의 조성과 상이하였다. 양념토하젓은 glutamic acid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이 일반토하젓에서보다 낮았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의 핵산관련물질함량은 각각 $2.64{\sim}4.82\;{\mu}mol$$1.08{\sim}1.93\;{\mu}mol$로서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많았다. 일반토하젓에서는 homarine이 $18{\sim}86\;mg$ 검출되었으나 바다새우젓의 30.7%였고 trigonelline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양념토하젓은 homarine이 흔적${\sim}39\;mg$, trigonelline $0{\sim}5\;mg$으로서 일반토하젓보다 낮았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의 TMAO와 TMA 함량은 미량으로서 바다새우젓의 20.9%와 27.7% 수준이었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에서 분석된 각성분들에 대한 질소분포는 모두 유리아미노산이 가장 중요한 함질소성분으로서 평균 65.7%와 60.8%였고, 다음은 oligopeptide류로서 17.8%와 16.6%였다. 핵산관련물질은 3.9%와 2.2%, betaine류는 1.1%와 0.4%, TMAO와 TMA는 1.2%와 1.8%, 그리고 creatine은 0.4%와 9.6%로서 엑스분질소의 회수율은 90.3%와 91.2%였다. 이상에서 분석된 토하젓의 엑스분질소와 함질소 엑스성분들을 상관분석한 결과 엑스분 질소, betaine 총량, 유리아미노산 총량 및 유리아미노산의 일종인 phenylalanine 이 토하젓의 품질지표로 활용가능성이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