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Commercial Tohajeot, a Salted and Fermented Freshwater Shrimp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and their Quality Index

시판(市販) 토하(土蝦)젓의 함질소(含窒素) 엑스성분(成分) 조성(組成) 및 품질지표(品質指標)에 관(關)한 연구(硏究)

  • Park, Choon-Kyu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Park, Jung-N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박춘규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박정임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7.04.0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ohajeot (a salted and fermented freshwater shrimp,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and in seasoned Tohajeot which were sold in the markets, the extract was analyzed separately into extractive nitrogen, free amino acids, oligopeptides,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quaternary ammonium bases, and guanidino compounds, using specimens collected at the fish markets of Yosu and Naju cities in 1994 and 1995. The salinity of Tohajeot was very high $(23.6{\sim}25.1)%$, but seasoned Tohajeot was relatively low $(8.4{\sim}11.4%)$. The extractive nitrogen in the extracts of Tohajeot and seasoned Tohajeot was $311{\sim}531\;mg\;and\;256{\sim}429\;mg$, and the total of free amino acids in them were $1,159{\sim}2,584\;mg\;and\;1,012{\sim}1,672\;mg$ respectively.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histidine, alanine, ornithine, and tyrosine were the major amino acids in Tohajeot extract, and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histidine, leucine and alanine were the main amino acids in seasoned Tohajeot. As for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m were $2.64{\sim}4.82\;{\mu}mol\;and\;1.08{\sim}1.93\;{\mu}mol$ respectively. Homarine, trigonelline, glycinebetaine and ${\beta}-alaninebetaine$ were detected in them. Homarine was the most abundant, ranging from 18 mg to 86 mg, but the others were very low. The content of major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ohajeot extract, such as extractive nitrogen, free amino acids, oligopeptides,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and betaines, was more abundant than that in seasoned Tohajeot extract. But th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ohajeot extract were poorer than those of anchovy sauce which was sold in the markets. Possibly, the extractive nitrogenous components, which consisted of total betains, total free amino acids, and phenylalanine might be recommended as the quality indices of standardizing Tohajeot and seasoned Tohajeot.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의 맛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함질소엑스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품질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품질개선과 품질지표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시료로 사용한 일반토하젓 2종과 양념토하젓 4종의 엑스성분을 추출하여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betaine류, 4급암모늄염기, 구아니시노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토하젓의 염분함량은 $23.6{\sim}25.1%$로서 저염화에 의한 품질개선이 필요하며, 양념토하젓에서는 $8.4{\sim}11.4%$로서 일반토하젓과는 차이가 많았다. 일반토하젓의 엑스분질소 함량은 고형물과 액즙에서 각각 $503{\sim}531\;mg$$311{\sim}493\;mg$이었으며, 양념토하젓은 $256{\sim}429\;mg$으로서 일반토하젓의 72.6% 수준이었다. 일반토하젓에서는 23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그 총량은 $1,159{\sim}2,584\;mg$으로서 바다새우젓의 $1,509{\sim}2,131\;mg$보다 높았다. 시판되고 있는 일반토하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토하원료에서와 유사한 수준으로서 함량증가가 미약하였다. 일반토하젓에서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서는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histidine, alanine, ornithine, tyrosine 등이었다. 양념토하젓에서는 3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어 일반토하젓에서 보다 다양한 조성을 갖고 있었으나 그 총량은 $1,012{\sim}1,672\;mg$으로서 일반토하젓의 70% 수준이었다. 양념토하젓에서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histidine, leucine, alanine 등으로서 일반토하젓에서의 조성과 상이하였다. 양념토하젓은 glutamic acid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이 일반토하젓에서보다 낮았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의 핵산관련물질함량은 각각 $2.64{\sim}4.82\;{\mu}mol$$1.08{\sim}1.93\;{\mu}mol$로서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많았다. 일반토하젓에서는 homarine이 $18{\sim}86\;mg$ 검출되었으나 바다새우젓의 30.7%였고 trigonelline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양념토하젓은 homarine이 흔적${\sim}39\;mg$, trigonelline $0{\sim}5\;mg$으로서 일반토하젓보다 낮았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의 TMAO와 TMA 함량은 미량으로서 바다새우젓의 20.9%와 27.7% 수준이었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에서 분석된 각성분들에 대한 질소분포는 모두 유리아미노산이 가장 중요한 함질소성분으로서 평균 65.7%와 60.8%였고, 다음은 oligopeptide류로서 17.8%와 16.6%였다. 핵산관련물질은 3.9%와 2.2%, betaine류는 1.1%와 0.4%, TMAO와 TMA는 1.2%와 1.8%, 그리고 creatine은 0.4%와 9.6%로서 엑스분질소의 회수율은 90.3%와 91.2%였다. 이상에서 분석된 토하젓의 엑스분질소와 함질소 엑스성분들을 상관분석한 결과 엑스분 질소, betaine 총량, 유리아미노산 총량 및 유리아미노산의 일종인 phenylalanine 이 토하젓의 품질지표로 활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