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Yang-Saeng in Cho, Tak's Yi-Yang-Pyun

조탁(曺倬)의 이양편(二養編)에 나타난 양생사상(養生思想) 연구

  • Lim Byung-Mook (Department of Preventive Orient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Soh Kyung-Sun ;
  • Kim Kwang-Ho (Department of Preventive Orient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임병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한의학교실) ;
  • 소경순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한의학교실) ;
  • 김광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한의학교실)
  • Published : 1997.12.29

Abstract

Cho, Tak(曺倬)'s Yi-Yang-Pyun(二養編), first published in the 12 year of Kwang-Hae-Kun(光海君) era(1620),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an edition of various Confucian scriptures that is used to control and restrain the mind. The second pan, considering mostly of contents borrowed from medical works, anthologies and books on yang-saeng(養生), is used to maintain the well-being of the body. Yi-Yang-Pyun shows several distinct characteristics of Yang-saeng ideas. first, it follows the teachings of Yi, Hwang(李滉) which denotes the state of body and mind according to the Kyung(敬) philosophy. 'Kyung' is a state of being that does not require bondage as it automatically reveres the mind. Therefore, actively fostering the body and mind is to maintain this respective state of being. Second, it has summarized and arranged certain medical contents from the Dong-Eui-Bo-Kam(東醫寶鑑) for the purpose of discovering the truth underlying one's body in an effort to pursue the logics of universal nature. Third, although it was based on the contents of Confucianism related books, it widely encompassed the regimen of Taoism. Fundamentally, the Confucian had regarded the Taoism as a heretic, but accepted it in e influence of Zhu xi(朱熹) who interpretated Can-Tong-Qi(參同契) with Confucian perspectives and put in practice the regimen of Taoism. In this context, Yi-Yang-Pyun also used jointly Taoism-related books with Confucian scriptures. Although Taoist regimen was accepted, elixir(外丹), conjury of Taoist hermit(神仙方術) and issues which run counter to morality like sexual practices(房中術) were not. Most of regimens used were related to disease-prevention and health-enhancement like breathing(服氣法), gym-nastics(導引), Diet(服餌) etc. Ideas of Yi-Yang-Pyun, written from Confucian perspectives, latter heavily influenced on scholars of inner elixir(內丹).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과 철학 東醫寶鑑의 道敎的 성격 金洛必;과학사상연구회(編)
  2. 한국의 종교 性理學의 理氣論과 道敎의 性命雙修論 金洛必
  3. 한국의학사 김두종
  4. 유교 靜坐와 도교적 無思想, 도교의 한국적 수용과 전이 유교 靜坐와 도교적 無思想 김승혜
  5. 韓醫藥書攷 김신근
  6. 한국도교의 현대적 조명 東國傳道秘記와 海東傳道錄 金侖壽
  7. 孟子集註 김혁제
  8. 도교와 불로장수의학 도광순
  9. 도교와 한국문화 한국도교의 종교사상에 대한 논평 류병덕
  10. 도교와 한국사상 한국 정신사에 있어서 도교의 특징 류병덕
  11. 朝鮮醫學史 及 疾病史 미끼 사까에 (三木 榮)
  12. 도교의 한국적 변용 조선시대 도교 精·氣·神론의 전개양상 박병수
  13. 한국철학연구 v.상 신라시대의 丹學 배종호;한국철학회(편)
  14. 한국도교의 현대적 조명 栗谷李伊의 老子연구와 도가철학-醇言을 중심으로 宋恒龍
  15. 周易參同契考異를 통해 본 朱熹의 煉丹에 대한 태도(미발표 논문) 신동원
  16. 한국도교사 이능화;이종은(譯)
  17. 退溪의 생애와 학문 이상은
  18. 도교와 한국문화 조선養生思想의 성립에 관한 고찰(其1) 이진수
  19. 도교의 한국적 수용과 전이 조선후기養生연구-二養編을 중심으로 이진수
  20. 한국도교의 현대적 조명 退溪철학의 養生사상에 관한연구 이진수
  21. 한국의학대계 壽養叢書類輯 이창정
  22. 노장사상과 동양문화 朱熹의 노장관 조민환
  23. 한국의학대계 曺倬;二養(編)
  24. 도교와 한국문화 한국도교의 종교사상 차주환
  25. 한국의 도교사상 차주환
  26. 인문과학 no.??19?? 曺倬의 經世思想과 二養編 최근덕
  27. 한국사특강 조선초기의 정치와 문화 최승희
  28. 고전국역총서 성소부부고 허균;惺所覆
  29. 東醫寶鑑 허준
  30. 老子철학과 도교 허항생;노승현(역)
  31. 국역 山林經濟 洪萬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