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ryptosporidium muris (strain MCR) infection on gastric mucosal mast cells in mice

마우스에 있어서 쥐와 포자충 감염이 위점막 비만세포에 미치는 영향

  • Lee, Jae-Gu (Department of Parasitology,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eol, Chan-Gu (Department of Parasitology,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on-Cheol (Department of Parasitology,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재구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설찬구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김현철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e responses of gastric mucosal mast cells (GMMCS) to infection with coccid- ian protozoa, Clptosporinium muris, in mice were examined during primary and challenge infections. Each of three-week-old ICR SPF mice was orally inoculated with a single dose of 2 × 106 oocysts of C. muffs (strain MCR). After oocyst shedding ceased, the mice were orally challenged with a single dose of 2×106 oocysts of the same species. GMMCS reached a peak on days 20-30 postinoculation (Pl) in number, and decreased thereafter. An increase on days 20-30 post-challenge-infection (PCI) was also observed. The mice showed, on the whole, normal profiles of oocyst shedding in droppings. The number of the cells of uninfected control mice remained constant. .T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astocytosis correlate with expulsion of C. mans in primary infection and the defense mechanism of challenge infection.

마우스에 있어서 쥐와포자충 감염에 대한 면역기전을 해명하기 위하여 이 원충을 최초 및 도전 감염시켜 위점막 비만세포수의 동태를 관찰하였다. ICR계 SPF3주령 마우스에. 그리고 감염 내과 후 분변 내의 오오시스트 음전 후에 두 번에 걸쳐 각각 $2{\;}{\times}{\;}10^6$의 쥐와포자충 (MCR주) 오오시스트를 경구투여하였다 최초 감염 후 5일 및 도전 감염 후 10일 간격으로 희생시켜 위를 적출하여 pH 2.0으로 조정된 Camoy's solution에 5-6시간 고정한 다음 pH 0.3으로 조정된 l% alcian blue에서 2시간. pH 1.0의 0.5% sihnin에서 5분간 염색하여 위점막 비만세포수를 계수하였다. 위점막 비만세포수는 최초 감염 후 15일에서 25일까지 최고치에 이른 다음 30일에 감소하여 그 이후에는 정상으로 복귀하였으며. 도전 감염 후 20-30일에도 역시 증가하였다 최초 감염 후 이 세포의 증가 후에는 분변에 배설되는 오오시스트의 수도 감소하였으며. 도전 감염 후에는 분변에서 오오시스트를 거의 검출할 수 없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이 세포는 최초 감염 흡충체 배출. 그리고 도전 감염의 방어기전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