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cal Stress Relief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MSR을 이용한 용접잔류응력의 제거와 적용성 검토

  • 박지선 (대우중공업(주), 선박해양기술연구소) ;
  • 한명수 (대우중공업(주), 선박해양기술연구소) ;
  • 한종만 (대우중공업(주), 선박해양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97.06.01

Abstract

실제로 용접구조물의 재료에는 항상 내부 잔류응력이 존재하며 그 크기는 재료내의 내부 잔류응력간의 평형의 원리(Self-equilibrating system)에 의해 결정 된다. 일반적인 구조 강도설계에서 행해지는 탄성해석에서는 재료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응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설계시에 계산된 응력이 심하중하의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응력과 같다고 볼 수는 없다. 철강재료를 사용한 구조물의 경우 구조물 제작 공정 전반에 걸친 성형가공 및 조립과정에 수반되어 재료 내에는 잔류응력이 발생되며 특히 용접조립에 의해 용접부 근방에서는 재료의 항복강도 수준의 상당히 큰 용접응력 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접잔류응력의 완화법으로 가장 확실한 방법은 후열 처리법(Post weld heat treatment, PWHT)이지만 이 방법의 적용은 구조물의 크기에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PWHT를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물에 대해서는 다른 방법에 의해 용접잔류 응력을 완화시켜야 하며 이 경우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기계적 응력완화 법(Mechanical stress relief method, MSR)이 있다. 본고에서는 MSR의 기본원리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하고 실 구조물에 대한 MSR 적용시 고려해야 할 제반사항을 위하여 단순 용접부에 대한 MSR 적용 실험결과와 실제 압력용기를 대상으로 MSR을 자체 제작된 기술절차서에 따라서 시행하고 MSR의 적용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신용접공학 김영식
  2. 대한기계학회지 v.25 no.2 잔류응력의 공학적 응용 이순복
  3. WRS, Apr. Effect of residual stress on brittle fracture H. Kihara;K. Masubuchi
  4. 대한기계학회지 v.33 no.8 원자력 압력용기의 소성변형에 의한 파괴방지를 위한 설계개념 송달호;이해
  5. 대우중공업(주) 선박해양기술연구소 한명수;박지선;김광석;한종만
  6. TID (Technical Investigation Department, U.K.) Report Pressure vessel testing using strain measuring techniques V. M. Kozousek;J. M. Jennings
  7. IGC Code, 1993 ed. International Code for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Liquefied Gas in Bulk IMO
  8. The Stress Analysis of Pressure Vessels and Pressure Vessel Components v.3 Inter. Series of Monographs in Mechanical Engineering S. S. G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