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An Analysis of Drought Using the Palmer's Method

  • 윤용남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안재현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이동률
  • 발행 : 1997.08.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가뭄의 시·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뭄의 지수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Palmer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Palmer의 가뭄지수 및 기후특성인자의 산정공식을 국내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수정 및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가뭄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수문기상학적 인자들인 강수량, 증발산량 등을 월 수분수지모형에 적용하여 지역별로 계속기간별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각각의 지점에서 구한 가뭄지수를 강우량 자료를 사용한 빈도분석을 통해 선정된 총 5개의 주요가뭄기간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전국적인 가뭄지수도를 작성하였다. 이것을 통해 주요가뭄기간의 상대적 가뭄심도 및 전국적인 가뭄분포상황을 분석하여 남부지방이 가뭄우심 지역이며, 1994년과 1995년에 걸쳐 발생했던 가뭄이 과거 어느 가뭄보다도 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almer의 가뭄지수 산정방법은 가뭄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데 유효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기상 및 강우의 중장기 예측이 가능해질 경우에는 가뭄예보 수단으로의 활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has been ectensively us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rought severity at a location for both agricultural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purposes. In the present study the Palmer-type formula for drought index is drived for the whole country by analyzing the monthly rainfall and meteorological data at nine stations with a long period of records. The formula is then used to compute the monthly drought severity index at sixty-eight rainfall stations located throughout the country. For the past five significant drought periods the spatial variation of each drought is shown as a nationwide drought index map of a specified duration from which the relative severity of drought throughout the country is identifiable for a specific drought period. A comparative study is made to evaluate the relative severity of the significant droughts occurred in Korea since 1960's. It turned out that '94-'95 drought was one of the worst both in the areal extent and drought severity. It is found that the Palmer-type formula is a very useful tool in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severity of drought over an area as well as at a point. When rainfall and meteorological forecast become feasible on a long-term basis the method could also be utilized as a tool for drought forecas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농공학회지 v.37 no.6 관개용 저수지의 한발지수산정 김선주;이광야;신동원
  2. 한국농공학회지 v.30 no.1 농업한발지수 설정에 관한 연구 안병기;김태철;정도웅
  3.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안재현
  4.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남한의 물수지와 한발의 특성 유경희
  5. '96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L-Moment법을 이용한 월강우량 자료의 지역가뭄빈도 해석 윤용남;박무종
  6. 석사학위논문, 부산수산대학교 대학원 강수 및 증발에 관한 일별 누적지수의 산출과 이의 평년차를 이용한 우리나라 가뭄의 특성 정삼연
  7. 한국수자원학회지 v.29 no.1 도시지역 용수관리를 위한 가뭄 예경보지수에 관한 연구 조홍제
  8. 기상연구논문집 v.11 no.1 Palmer 방법에 따른 가뭄지수의 산출과 한국의 가뭄의 시 · 공간적 특성 분석 최영진;김현미;조하만
  9. Hydrology Bras,R.L.
  10. Res. Pap. No. 45 Meterological drought Palmer,W.C.
  11. Publication in Climatology v.8 no.1 The water balance Thornthwaite,C.W.;Mather,J.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