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patterns of demersal fishes by the baited traps and bottom gillnets in the Masan Bay , heavily polluted area

마산만에서 통발과 자망어구에 의한 저서 어개류의 군집특성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biotic environments based upon the community pattern of demersal fishes in the Masan bay which is heavily polluted area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baited traps or bottom gillnet sampled bottom fishes at four sites totally 14 tunes from March 1994 to December 1996 with 2~3 months interval. The baited trap caught 0~ 10 species which were mainly starfish, crabs, conger eel, rockfish, or blenny with 0~50 individuals per a trap. Small crab(Atergatis sp.) was significantly dominant in the S1 site, most heavily polluted area, and starfish(Asterias sp. and/or Asterina sp.) in the other three sites. There was no animals at the S1 site in the March and July in 1994 and August in 1996. The gillnets caught 0~7 species which were mainly mantis shrimp, jellyfish, flounder, starfish, crabs, or sea weeds with 0~30 individuals per a pannel of bottom gillnet. Jellyfish was significantly dominant in the S1 site and mantis shrimp in the all four sites. There was no animals in the July 1994 at S1 site and in the August and December 1996 at S4 site. But at the August in 1995 or 1996 in the S1 site, the bottom gillnets caught mackerel, anchovy, gizzard-shad or mullet which was dead all.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samlings by trap or gillnet showed less than 1.0 in the 80% of the totally 56 samplings. This means that the stability of demersal fishes' community is very low owing to the poor biotic environments. But most of fishes living at Masan bay appeared well fitting with the heavily polluted environments. And some fishes, like mackerel, anchovy, gizzard-shad or mullet migrated into polluted Masan bay with the seasonal or annual fluctuation.

마산만의 4개 정점에서 1994년 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2~3월 간격으로 14회에 걸쳐 21개의통발과 5폭의 저층자망어구를 이용하여 저서어개류의 군집특성을 조사하였다. 통발에 채집된 종은 0~10종으로 불가사리, 게류, 붕장어, 볼락, 노래미, 망둑 및 베도라치 등이었고, 단위 통발당 개체수는 0~46마리였으며 우점종은 S1정점의 납작게와 다른 정점의 불가사리였다. `95년에 출현 종과 개체수가 비교적 많았으나, `94년 3월과 7월 및 `96년 8월에 S1정저메서 생물이 채집되지 않았다. 자망구어에 채집된 종는 0~7종으로 갯가재, 해파래, 도다리, 불가사리, 민꽃게, 및 해조류 등 이었고, 단위 폭당 개체수는 0~30마리였으며 우점종은 해파리와 갯가재엿다, `94년 7월에는 S1정점에서 그리고 `96년 8월 및 12월에는 S4정저메서서 생무링 체포되지 않았으나, `95년 8월과 `96년 8월에는 S1정점에서 고등어, 멸치, 전어, 숭어 등이 저층자망에 포획되기도 하였다. 가장 오염이 심한 S1정점에서 `94년 11월에 통발당 50여 마리의 납작게가 들었으며 이후에도 개체수는 줄었으나 지속적으로 포획되었고, `96년 8월에는 고등어, 숭어, 전어 등의 군집이 빈번하게 형성되었다, 그리고 S1정점에서 도다리, 노래미, 갯가재, 꼼치 등의 치어사 `95년과 `96년의 4~8월에 많이 들었으나 특이하게도 불가사리는 1마리도 채집되지 않았다. 종다양성지수(H`)는 60여회의 조사중 80% 이상이 1.0 이하로 나타났다. 정점별 비교에서 톨발에 의한 군집 안정도는 S1정점에서 가장 낮고 다른 정점에서는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지만, 자망의 경우는 S1과 S4정점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낮고, S2과 S3정점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별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경년별 비교에서 통발의 경우에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지망의 경우 `95년이 다른 해보다 군의 댜양도가 현저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고를 종합하여 보면 마산만에서의 어개류 군집은 납작게, 해파리, 불가사리, 갯가재 등이 탁월하게 우접하는, 안정도가아주낙은 군집을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94년 3월에서 `96년 12월까지 뚜렷한 어개류 서식환경의 개선 징후느 나타나지 않았으나, 마산만에 서식하는 어개류는 이곳의 오염된 서식환경에잘 적응하여 산란.서식하며, 또 회유성 어개류는 주로 외적 요인에 의한 계절 및 경년변동을 하는 것으로 유추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산학회지 v.29 베도라치(Enedrias nebulosus)의 연령, 성장 및 산란 강용주;김영혜;김원태
  2. 한국수산학회지 v.16 남해 창선해협의 자치어에 관한 연구 김용억
  3. 한국수산학회지 v.17 대한해협의 자치어 분포상 김용억
  4. 한국수산학회지 v.24 no.2 3중자망에 의한 삼천포 연안 천해어류 군집의 구조 김종관;강용주
  5. 한국수산학회지 v.22 천수만 저서성어류군집의 계절변화 이태원
  6. 한국수산학회지 v.29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Ⅰ 이태원
  7. 부산수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진해만의 저서동물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임현식
  8. 한국수산학회지 v.19 잘피 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출현량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허성회
  9. 한국수산학회지 v.30 no.1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홍해 연안어류의 종조성 황선도;박영조;최수하;이태원
  10. Estuar. cstl. mar. sci. v.8 Impact of hypoxic conditions in the vicinity of Little Egg Inlet, New Jersey in summer 1976 Garlo, E.V.;C.B. Milstein;A.E. Jahn
  11. Sewage and Indust. Wastes v.27 Suggested method for reporting biotic data. Beck, W. M.
  12. Ohio I. Sci. v.58 The effects of pollution on a midwestern stream Gautin, A. R.
  13. J. of the Oceno. soc. of Korea v.22 no.4 Summer oxygen defici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Hong, J.S.
  14. Korea. J. of the Oceno. soc. of Korea. v.18 Effects of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Hong, J.S.;J. H. Lee
  15. J. Oceanol. Soc. Kor. v.19 Seasonal fluc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apnet catches Lee, T.W.;K.J. Seok
  16.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ahnnon, C. E.;W. Weaver
  17. Bio. Sci. v.18 Biological parameters for water quality criteria Wilhm, J.;T. Dor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