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ilica Fine Glass Particles prepared by Flame Hydrolysis Deposition Process

FHD법으로 형성된 실리카 유리미립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최준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부품연구실) ;
  • 정명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부품연구실) ;
  • 최태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부품연구실)
  • Published : 1997.10.01

Abstract

수직형 FHD증착법을 사용하여 SiO$_{2}$, SiO$_{2}$-P$_{2}$O$_{5}$, SiO$_{2}$P$_{2}$O$_{5}$-B$_{2}$O$_{3}$-GeO$_{2}$계 실리카 유리미립자를 형성하였으며, SEM, ICP-AES, XRD, TGA-DSC을 사용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XRD측정을 통해, 미립자 형성시 사용된 화염온도(130$0^{\circ}C$-150$0^{\circ}C$)와 기판온도(-20$0^{\circ}C$)가 SiO$_{2}$-P$_{2}$O$_{5}$계 미립자를 비정질상태로 형성하였으며, SiO$_{2}$P$_{2}$O$_{5}$-B$_{2}$O$_{3}$와 SiO$_{2}$P$_{2}$O$_{5}$-B$_{2}$O$_{3}$-GeO$_{2}$계 미립자에서는 B$_{2}$O$_{3}$, BPO$_{4}$, GeO$_{2}$의 결정성피크들을 관찰하였다. TGA-DSC 열분석을 통해, SiO$_{2}$와 SiO$_{2}$-P$_{2}$O$_{5}$는 온도변화에 따른 질량변화가 없었으며, SiO$_{2}$P$_{2}$O$_{5}$-B$_{2}$O$_{3}$-GeO$_{2}$계의 경우 질량감소를 동반한 유리전이에 따른 분자이완현상 및 결정화나 회복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질량감소는 미립자가 결정상태일때 가속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DSC열분석을 통해 SiO$_{2}$, SiO$_{2}$-P$_{2}$O$_{5}$, SiO$_{2}$P$_{2}$O$_{5}$-B$_{2}$O$_{3}$-GeO$_{2}$계 유리미립자들의 고밀화가 시작되는 온도를 각각 1224$^{\circ}C$, 1151$^{\circ}C$, 953$^{\circ}C$, 113$0^{\circ}C$에서 관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 Non-ryst. Solids v.171 S. Sakaguchi
  2. J. Non-Cryst. Solids v.171 S. Sakaguchi
  3. Jpn. J. Appl. Phys. v.19 no.6 S. Tomaru;M. Kawachi;T. Edahiro
  4. J. Non-Cryst. Solids v.203 A.M. Efimov
  5. J. Non-Cryst. Solids v.27 Y.Y. Huang;A. Sarkar;P.C. Schultz
  6. U.S. Patent, No. 3,806,223 Method of forming planar optical waveguides D.B. Keck;P.C. Schultz
  7. Fiber Fabrication, Optical Communications v.1 Tyngte Li(ed.)
  8. J. Am. Ceram. Soc. v.60 G.W. Scherer
  9. Sumitomo Electr.Tech. Rev. v.112 M. Yoshiba;K. Fujiwara;N. Yoshioka;H. Yokata;G. Tanaka
  10. J. Non-Cryst. Solids v.63 T. Woignier;J. Phalippou;J. Zarzycki
  11. Jpn. J. Appl. Phys. v.19 no.2 M. Kawachi;S. Sudo;N. Shibata;T. Edahiro
  12. J. Lightwave. Tech. v.6 no.8 E. Potkay;H.R. Clark;I.P. Smyth;T.Y. Kometani;D.L. W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