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Mokpo Harbour(II) -Centering on eutrophication in summer-

목포항의 수질특성(II) - 하계의 부영양화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1997.07.01

Abstract

The in situ observations and the seawater analyses were conducted in July and Auguse, 1996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water quality centered about eutrophication in Mokpo harbour. By applying the OECD standards of trophic classification to the parameters such as secchi depth, total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and chlorophyll-a, the trophic level of seawater in Mokpo harbour was evaluated to be in eutrophic state in summer. The estimation of pollution index by eutrophication showed the sea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to deteriorate and fall under the regular grades. The results of eutrophic index estimation showed the high otentiality of red tide occurrence in Mokpo harbour.

Keywords

References

  1. IMO News IMO
  2.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정책 대토론회 우리나라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과제 박원규
  3. Stream, lake, estuary and ocean pollution(2nd ed.) Nemerow N. L.
  4. Bull. Kor. Fish. Soc. v.27 no.6 Water Quality of the Yellow Sea in Summer You S. J.;J. G. Kim;G. S. Kim
  5. 水産硏究叢書 23 內灣赤潮の發生機構 - Ⅲ淺海の汚染と赤潮發生の 岡市友利
  6.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Eutrophication of waters OECD;Vollenwieder, R.A.;J.J.Kerekes
  7. 한국연안어장환경오염조사 결과 보고서 국립수산진흥원
  8. 한국항해학회지 v.15 no.2 목포항 개발 및 대불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연안해역 변화(Ⅰ) : 해면 정온도를 중심으로 이중우;정명선
  9. 한국항해학회지 v.16 no.1 목포항 개발 및 대불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연안해역 변화(Ⅱ) : 해상환경을 중심으로 이중우;정명선;민병언
  10. 한국해양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논문 목포 연안역 개발데 따른 연안수역 변화에 관한 연구 정명선
  11. 영산강(Ⅲ)지구 대단위간척지종합개발사업 환경관리조사보고서 농어촌진흥공사
  12. 목포신도심 조성 Ⅱ단계 매립사업에 따른 어업권 피해 영향 조사 보고서 여수수산대학 수산과학연구소
  13. 목포항의 수질특성(Ⅰ)-하계의 유기물 오염과 용존산소를 중심으로 v.3 no.1 김광수
  14. BSPE00048-80-7 적조 및 오염 모니터링 연구 해양연구소
  15. 목포해양대학교논문집 v.4 no.2 한반도 서해 해역의 하계 수질 평가 김광수
  16. 부산수산대학교 공학박사학위논문 진해만 해역의 하계 부영양화 모델링 김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