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UHAUS 공방의 형성과 조형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Formation of Workshop and characteristic of BAUHAUS

  • 하상오 (동아대학교 산업미술과)
  • 발행 : 1997.05.01

초록

바우하우스운동은 하나의 디자인 관이 전제되어 일관성 있게 진행되었다 기보다는 소위 근대와 반 근대의 끊임없는 갈등 속에서도 구성원들의 일관된 삶의 방식을 통하여 추구된 조형작업의 부산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디자인의 근원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던 바우하우스 교육의 모든 기구는 학생이 모든 내적, 외적 곤란을 극복하는 시점에서의 실제문제와 관계 있는 교유 가치를 실현하는데 있었으며 교육과 생산이 하나의 시스템 속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최소단위로서의 작업공방이 필연적으로 생겨나게 된 것이다. 바우하우스 공방작업의 가장 본질적인 점은 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제품이 균질성을 나타낸다고 하는 사실이며 이것은 각양각색의 인격과 개성의 협력을 바탕으로 삼아 의식적으로 발달한 공동체 정신의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었다. 또한 이 균질성은 외견상에 나타난 양식 적인 세세한 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물을 간결하고 충실하게, 한편으로는 본질적인 법칙에 응해서 만들어 낸 노력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바우하우스 제품의 원형은 유행적인 것이 아니라 예술, 기술, 경제에 따른 형태 부여라는 점에서 수많은 사고와 심사숙고를 거친 공방 작업과정의 결정체라고 볼 수 있다.

The Bauhaus movement can be said to be the by-product of forming work pursued through the method of constituents even under endless discord between the so-called modern ages and anti-modern ages rather than to say that it was progressed consistently on the assumption of a design. Accordingly, all instruments of Bauhaus education which contributed to form the source of the modern ages realized educational value related to the actual problem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student evercomes all internal and production can be managed most effectively under one system was originated inevitably. The most exential point of the work of Bauhaus workshop is the fact that all products show homogeneity as time passes, which is appeared as the result of the spirit of consciously developed community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various characters and personalities. Also, the homogeneity does not exist in formative detailed aspect appeared externally but in the basis of effort having produced things simply and faithfully, and 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essential rule. Therefore, the original form of Bauhaus products can be said not to be fashionable but the crystal of work process at the workshop through much thought and contemplation in view of endowed form following art, technology and econom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