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성벽체 투수기를 이용한 흙세척 실험시 벽막을 통한 확산량 산정

Membrane Diffusion through Flexible-Wall Permeameter for Soil Flushing Tests

  • Junboum Park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e-Sang Kim (Korea Telecom Outside Plant Technology Laboratory)
  • 발행 : 1997.08.01

초록

유기화합물로 오염된 지반을 정화하는 방법 가운데 화학약액을 주입하는 흙세척 방법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실험실에서 재현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연성벽체의 주상실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유기화합물로 오염된 시편을 화학약액으로 세척하는 과정 중에서 일부의 유기화합물은 연성벽체를 통하여 확산되고, 확산된 양은 화학약액에 의한 세척효율 산정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연성벽막을 통한 확산량을 조사하고자 다섯가지의 유기화합물(페놀, 아닐린, 나이트로벤젠, 퀴놀린, 및 2나프톨)을 이용하여 breakthrough 시험을 실시하였다. 나이트로벤젠은 75% 이상이 벽막을 통하여 확산되었다. 나머지의 유기화합물은 25%이하의 확산량을 보였다. 실험중 생분해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Solvent extraction using aqueous solutions is presum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applicable to in situ conditions without excavation of contaminated soils. Laboratory permeameter soil flushing test is perform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solvent extraction of contaminants absorbed on soil particles. When the permeameter tests conducted, diffusion of contaminants through the permeameter flexible-wall was considered for adjusting the remediation percentage. Input and output balance for concentration was well matched in the permeameter tests. Nitrobenzene diffused so excessively (approximately 75%) that it was not suitable for the permeameter desorption tests. No biodegradation was detected in the soil sampl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