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최아후 건조종자의 발아능력

Germination Ability of Pregerminated and Dried Rice Seed

  • 발행 : 1997.06.01

초록

1차 최아되었던 법씨의 활력증진 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최아 정도별 현미의 유기 및 무기성분의 함양변이와 조ㆍ중오ㆍ만생종별 각각 2품종을 공시하여 기상생태형간의 차이 및 gibberellin 처리가 종자의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아 정도별 단백질함량은 무최아 종자에서 높았고 최아가 진전되어 최아장이 클수록 낮았으나, 지방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 칼리함량은 무처리 종자에서 낮았고, 최아가 진전된 종자는 높았는데 최아장이 10mm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마그네슘도 처리간 차이는 작았지만 경향은 가리함량의 경우와 같았다. 그러나 Mg /K 비율은 최아장이 클수록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3. 재발아능력은 숙기가 이른 품종들이 높았는데, 최아가 5mm 이상 되었던 종자들은 재발아능력을 거의 상실하였다. 4. 침종 후 바로 말려서 파종한 종자의 재발아율은 1차 최아되었던 최아장 0.1∼0.5mm인 종자의 재발아율보다 낮고, 최아장 1∼3mm인 종자의 경우와 비슷함을 보였다. 5. 재발아율에 미치는 gibberellin의 효과는 10ppm에서 높았고,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최아장이 작았던 종자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유묘의 초장, 생체중 및 건물중 등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vigor of rice seed pregerminated, some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 content, response of ecotypes, and effect of gibberellin treatment, under different levels of hastening of germination, were examined. Protein content was high in dried seed, the larger size in length of pregerminated seed, the less protein content, but lipid content was a reverse tendency to protein one. Potassium content was low in dried seed, the larger size in length of pregerminated seed, the more potassium content, but increase dramatically at above 10 mm in length of sprout. Magnesium content showed a same tendency to potassium one. The ability of regermination was high in early maturing cultivar, but almost lost in the pregerminated seeds with above 5 mm in length of sprout. The regermination percentage of dried seed was lower than that of pregerminated seed with 0.1∼0.5 mm in length, but was similar to that of pregerminated one with 1∼3 mm in length of sprout. The effect of gibberellin on regermination percentage was highest at 10 ppm and showed high with small sized one of pregerminated seed. The effect of gibberellin on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showed a same tendency to regermination percenta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