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actice and Effects of Sleep Hygiene

수면위생의 실행과 효과에 대한 연구

  • Choi, Yun-Kyeung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t. of Psychiatry) ;
  • Kim, Leen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t. of Psychiatry) ;
  • Suh, Kwang-Yoon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t. of Psychiatry) ;
  • Shin, Dong-Kyun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t. of Psychiatry)
  • 최윤경 (고려대학교 신경정신과학 교실) ;
  • 김인 (고려대학교 신경정신과학 교실) ;
  • 서광윤 (고려대학교 신경정신과학 교실) ;
  • 신동균 (고려대학교 신경정신과학 교실)
  • Published : 1997.12.30

Abstract

Objectives :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ractice of sleep hygiene and its effectiveness in general population who had experienced insomnia. If we find the items which be little practiced but especially effective, we would establish empirical an and theoretical basis to design the treatment program for insomnia, therefore apply it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 The 226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insomnia, were at the age above 18 in Seoul, Korea.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demographic data, the experience of insomnia, and the practices and effects of sleep hygiene instruction. The interview was administered face to face by the investigators. Results :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practiced many of the sleep hygiene items related with arousal in sleep setting, and that those items were effective. The items such as 'get regular exercise each day(H)', 'take a hot bath(H)', 'concentrate on the pleasant feeling of relaxation(A)' were not usually practiced, but these items were reported very effective for sleep.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were sleep hygiene items which should be educated and directed to practice actively in treatment program for insomniacs. Some items, which were especially reported low practice but highly effective, would be recommended to be studied about each therapeutic effectiveness in follow-up studies.

연구배경: 불면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어떤 수면위생 수칙들을 얼마나 실행하고 있으며 또 실행했을 때 수면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실행이 많이 되고 있지는 않지만 수면에 특이하게 도움이 된다고 보고된 항목들이 있다면, 불면증 치료 프로그램을 계획 적용하기 전에 그에 대한 경험적,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고 이를 실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방 법: 불면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226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불면증 경험, 수면위생 수칙에 대한 실행과 효과를 평가하는 항목들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조사원이 일대일로 면담을 실시하여 질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결 과: 잠자리에서의 각성과 관련된 수면위생 수칙은 비교적 많이 실행되고 또 수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잠자기 전에 뜨거운 물에 목욕을 한다'와 같은 수면의 항상성 추동과 관련된 수면위생 수칙들과 '잠자기 전 긴장을 풀어준다'와 같은 항목들은 평상시 실행도는 낮으나, 불면증이 있을 때 실행을 하면 매우 효과적이라 평가되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 좀 더 강조해서 교육해야 하고 실행하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는 항목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불면증의 치료 프로그램에 이러한 수면위생 수칙에 대한 교육을 포함시키고 좀 더 실제적인 실행을 할 수 있도록 항목별로 자세하게 주지시킬 필요가 있겠다. 특히, 평소에 실행도는 낮지만 실행하였을 때 효과적이라고 평가된 세가지 항목들에 대해서는, 임상실제에서 불면증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별 항목별 치료효과를 측정하는 후속 연구가 시도될 만 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