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tophthora Diseases of Apple in Korea: II. Occurrence of an Unusual Fruit Rot Caused by P. cactorum and P. cambivora

사과의 역병: II. Phytophthora cactorum과 P. cambivora에 의한 사과 과실역병의 발생

  • Jee, Hyeong-Jin (Plant path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o, Weon-Dae (Plant path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Wan-Gyu (Plant path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지형진 (농업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병리과) ;
  • 조원대 (농업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병리과) ;
  • 김완규 (농업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병리과)
  • Published : 1997.06.01

Abstract

An unusual young fruit rot of apple caused by two species of Phytophthora was epidemic from late May to early July of 1996 in Andong, Uisung and Chungwon areas of Korea. The disease spread to over 30 apple orchards in the areas and percent of the infected tree and fruit was ca. 10~90% and 1`15%, respectively. Water soaking lesions or spots on leaves and shoot blight were also developed by the pathogen. Among 39 isolates collected, 25 were identified as P. cactorum and the others were as zp. cambivora on the basis of their distinctive morphological characters. While the former fungus was homothallic, all isolates of the latter were A1 mating types. Koch's postulate was fulfilled. Both fungi showed strong pathogenicity not only to young fruits, leaves and shoots of apple but also to those of pear and peach. Several vegetables tested did not show symptoms even by wound inoculation. An Occurrence of young fruit rot of apple caused by Phytophthora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especially, P. cambivora has not been recorded previously as the causal agent of the disease in the world.

1996년 5월 하순부터 7월 초순사이 경북 안동, 의성, 충북 청원 지방의 30개 이상의 사과 과수원에서 어린 과일에 역병이 대발생하였는데, 발병된 과수원에서는 이병주열과 이병과율이 각각 10~90%와 1~15% 정도였다. 이병된 어린 과일은 연한 갈색 혹은 진한 갈색으로 썩고 단단하였으며 병반은 건전부위로 경계가 불명확하게 확산되었다. 어린 잎이나 신초 역시 역병균에 감염되면 반점이나 수침상 혹은 마름 증상 들을 심하게 나타내었는데 이들로부터 총 39개 역병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중 Phytophthora cactorum으로 동정된 25개 균주는 모든 발생지역에서 분리되었으나 P. cambivora로 동정된 나머지 14개 균주는 안동지역에서만 수집되었다. P. cambivora 균주의 유성생식형은 모두 A1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의 균학적 특성은 본문에 자세히 기록하였다. 본 실험에서 Koch의 가설이 증명되었으며, 두 균 모두 사과뿐 아니라 배와 복숭아의 어린 가지와 과일에 강한 병원성을 보였고 여러 채소과일에는 병원성이 없거나 아주 미약하였다. 사과 어린 과일 역병의 대 발생은 국내에 기록된 바가 없으며, 특히 P. cambivora에 의한 사과 과일역병의 발생은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