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eas from Leaves of Korean Box thorn (Lycium chinense Miller) Leaves

구기엽을 이용한 차류의 개발

  • Kim, Seung Yeol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Kyong Haeng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eung Kyeom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성렬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이경행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김승겸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Six different types of teas from box thorn leaves collected on mid May were prepared by using different tea making procedures. The selected physicochemical propentes and the sensory qualities of the 6 different teas were analyzed. The box thorn leaves contained 87.71% moisture, 0.69% crude fat, 4.77% crude protein, 2.13% fibers, 3.11% carbohydrates and 1.59% ash. Based on the sensory analysis, roasted tea(duckum tea) had the highest values in taste, flavor, color and overall preference. Eighteen free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roasted tea, showing the specially high levels of proline(170.15mg%) and glutamic acid(112.34mg%). The roasted tea also contained glucose(1.07%), maltose(0.87%), sucrose(0.63%) and fructose(0.55%). The content of citric acid(337.43mg%) in the roasted te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lonic acid(54.17mg%), oxalic acid(48.66mg%), malic acid(27.41mg%), succinic acid(4.48mg%), fumaric acid(1.08mg%) and lactic acid(trace amount), in a decreasing order.

본 연구는 구기자 나무 재배중에 속아서 폐기하고있는 대량의 구기자 나무순에서 딴 구기엽을 이용하여 6가지 방법으로 차류를 제조하여 각종 방법으로 열탕 추출한 용액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비롯한 몇가지 이화학적 성질과 기호성을 검토하였고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덖음차 중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맛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원료로 사용한 구기엽의 일반화학 성분은 수분 87.71%, 조지방 0.69%, 조단백질 4.77%, 조섬유 2.13%, 탄수화물 3.11% 및 회분 1.59%를 나타내었다. 시험제조한 6종의 차류를 열탕으로 추출하여 몇 가지 이화학적 성질을 측정 비교하였을 때 차의 종류와 추출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으나 관능검사에 의하여 기호성을 검토한 결과, 덖음차가 특출하였으며 통계처리 결과 시판 설록차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덖음차를 열탕으로 추출하여 주요 맛성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18종의 유리아미노산이 동정되었고 그들 중 proline(170.15mg%)과 glutamic acid(112.34mg%)의 함량이 특히 많았고 유리당으로서는 glucose(1.07%), maltose(0.87%), sucrose(0.63%) 및 fructose(0.55%)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유기산으로서는 citric acid(337.43mg%)가 대부분이었고 malonic acid(54.17mg%), oxalic acid(48.66mg%), malic acid(27.41mg%), succinic acid(4.48mg%), fumaric acid(1.08mg%), lactic acid(FT)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