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Exposure and Biological Monitoring Values in Workers Exposed to Styrene

스타이렌 폭로 근로자의 환경중 폭로농도와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 Paik, Jong-Min (Dep. of Industrial Hygiene, Jisan Junior College) ;
  • Lee, Jong-Y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g-M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ecine, Dong-A University)
  • 백종민 (지산전문대학 산업위생과) ;
  • 이종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정만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7.11.13

Abstract

This is an effort to confirm changes biological monitoring according to changes in levels of exposure to styrene for industrial work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8 workers, including male of 64 and female 44 who were working at factories of FRP, dipping, and coating. An improved passive monitor method(organic vapor monitor; OVM) was employed to determine levels of exposure. The biological monitoring include blood styrene concentration, urinary mandelic acid(MA), and urinary phenylglyoxylic acid(PGA). Biological monitoring were made through the Collection of blood and urine. The mean value of exposure to styrene was 21.0ppm, which is measured by organic vapor monitor, one of improved passive monitors. The highest exposure level was observed among workers in boat factories, laminating procedure workers, processing workers, respectively(p<0.01). For exposure level, 11% of subjects under study showed over 50ppm which is time weighted average(TWA).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ological specimens and the exposure level was 0.62 for blood styrene concentration, 0.58 for MA corrected by creatinine, and 0.70 for PGA corrected by creatinine, respectively(p<0.01). The regression analyses found exposure level relative importance in explaining variance in biological monitoring. In additional to that, gender was a significant factor in explaining variance of MA and MA+PGA. Almost half of variance(49%) in blood styrene concentration was explained by predictors, including exposure level, age, gender, duration, and drinking volume during the last week(p<0.01). The very high correlation(higher than 0.95 was found when a comparison was made among three types of corrected methods, including uncorrected specific gravity and creatinine.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OVM to represent levels of exposure to styrene for industrial workers. A discussion was made on possible use of specific gravity sample for biological monitoring. Exposure level may be predicted on MA, PGA in urine, which could be applied to represent biological monitoring.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의 스타이렌 폭로수준과 이에 따른 biological monitoring 농도의 변화를 알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FRP공장, 함침작업공장, 피막도포작업공장에 종사하는 남자근로자 64명과 여자근로자 44명이며 포집 및 분석기간은 1995년 6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였다. 일반적 특성중 연령, 성별, 근무경력, 음주량, 흡연량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신장과 체중은 개인건강기록표를, 스타이렌 환경폭로농도를 알기 위하여는 확산형 포집기를 사용하였으며, 생물학적 감시물질의 폭로수준을 알기 위하여 혈액과 소변을 채취하여 혈중 스타이렌, 요중 mandelic acid(MA)와 phenylglyoxylic acid(PGA)을 분석하였다. 평균폭로농도는 21.0ppm으로 저농도였으며 사업장별로는 선박관련업체가, 작업방법으로는 적층작업이, 작업형태는 주작업에서 가장 높은 폭로를 보였으며 대상자 중 11%가 허용기준 이상으로 폭로되었다. 환경폭로수준과 혈중 스타이렌의 상관성은 0.620이었고 creatinine으로 보정한 phenylglyoxylic acid와는 0.702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혈중 스타이렌과 요중 대사산물의 상관관계는 MA+PGA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물학적 대사산물의 변화를 설명하는 독립변수들 중 환경폭로농도가 가장 중요하였으며 특히 MA와 MA+PGA에서는 성별 역시 중요한 변수였다. 생물학적 대사산물에 대한 독립변수의 설명력은 모두 31% 이상이었으며 그중 혈중 스타이렌은 49.1%로 가장 높았다. 요중 대사산물을 보정여부에 따른 상관성을 본 결과 모두 0.95이상을 보였다. 이상을 종합한 바 스타이렌 취급작업장의 공기중 농도를 측정할 때 확산포집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요의 생물학적 지표에서는 비중으로 보정한 경우가 creatinine으로 보정한 것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요중 MA 및 PGA를 이용하여 폭로 근로자의 폭로농도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를 스타이렌 취급근로자에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