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morphological Studies on the Perforation Plate of Korean Hardwoods(II) - The Structure of Perforation Plate -

한국산(韓國産) 활엽수재(闊葉樹材) 천공판(穿孔板)의 미세형태(微細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 천공판(穿孔板)의 구조(構造) -

  • Kim, Dae-Young (Department of Wood Science & Technolog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Won-Yong (Department of Wood Science & Technology, College of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대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임산공학과) ;
  • 이원용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Perforation plate was observed in 78 species(45 genera, 25 families) of Korean native hardwoods using SEM and it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i.e., simple, scalariform and multiple perforation plates, Based on occurance of these types, the species examined were classfied into the following six groups : (1) 60species(35 genera, 21 families) having exclusively simple perforation, (2) 5 species(2 genera, 1 families) having exclusively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s, (3) 4 species(4 genera, 3 families) having simple and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s, (4) 2 species(2 genera, 1 families) having simple and multiple perforation plates, (5) 5 species(3 genera, 3 families) having scalariform and multiple perforation plates and (6) 2 species(2 genera, 2 families) having simple, scalariform and multiple perforation plates. Mismatching perforation plates were found in two species of Betulaceae, Alnus hirsuta var. sibirica and Alnus hirsuta and peculiar substructure between the bars of the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 was observed in Betulaceae, Betula davurica and Cercidiphyllaceae, Cerdiphyllum japonicum and the vestured perforation plate was found in Quercus aliena.

우리나라산(産) 활엽수재 25과(科)45속(屬)78종(種)의 수종에 대하여 천공을 이루고 있는 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3차원적(次元的) 형태를 관찰하고, 이들의 미세한 천공구조의 본질을 조사하여 과(科), 속(屬), 종별(種別)로 고유의 특징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 하였으며 천공의 분류는 단천공(單穿孔), 계단천공(階段穿孔) 및 다공천공(多孔穿孔)(계단천공(階段穿孔) 이외의 다공천공(多孔穿孔))의 3가지로 구분하고 이것을 기초로하여 (1) 단천공(單穿孔)만을 갖는 수종(60종), (2) 계단천공(階段穿孔)만을 갖는 수종(5종), (3) 단천공(單穿孔)과 계단천공(階段穿孔)을 갖는 수종(4종), (4) 단천공(單穿孔)과 다공천공(多孔穿孔)을 갖는 수종(2종), (5) 계단천공(階段穿孔)과 다공천공(多孔穿孔)을 갖는 수종(5종), (6) 단천공(單穿孔), 계단천공(階段穿孔) 및 다공천공(多孔穿孔)을 갖는 수종(2종)의 6개의 그룹으로 분류 하였다. 그 결과 Betulaceae에 속하는 수종은 대부분이 계단천공(階段穿孔)을 나타내고 있으나 개서어나무에서는 단천공(單穿孔)이 출현하는 특징이 있으며, Fagaceae의 갈참나무에서는 단천공(單穿孔)의 천공연(穿孔緣)의 주연에 돌기물이 발생된 vesture천공이 관찰 되었다. 또한 계단천공(階段穿孔)의 상하의 bar가 서로 일치되고 있지않은 mismatching perforation plate가 물갬나무와 물오리나무에서 관찰되었으며 또한 계단천공의 bar사이에 벽물질이 남아 일부 또는 전부가 막혀 있거나 microfibrillar 모양의 substructure가 물박달나무와 계수나무에서 발견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