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 Resistance and Modeling Rule of Fishing Nets 5. Total Resistance of Bottom Trawl Nets Subjected Simultaneously to the Water Flow and the Bottom Friction

그물어구의 유수저항과 모형수칙 5. 저층 트롤그물의 예망저항

  • KIM Dae-An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김대안 (여수수산대학교 해양생산학과)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In order to express exactly the total resistance of bottom trawl nets subjected simultaneously to the water flow and the bottom friction, the influence of frictional force was added to the formular for the flow resistance of trawl nets obtained by previous papev and the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other investigators were analyzed by the formula. The analyzation produced the total resistance R (kg) expressed as $$R=4.5(\frac{S_n}{S_m})^{1.2}S\;v^{-1.8}+20(Bv)^{1.1}$$ where $S(m^2)$ was the wall area of nets, $S_m\;(m^2)$ the cross-sectional area of net mouths, $S_n\;(m^2)$ the area of nets projected to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water flow, B (m) the made-up circumference at the fore edge of bag parts, and v(m/sec) the dragging velocity. From the viewpoint that expressing R in the form of $R=kSv^2$ was a usual practice, however, the resistant coefficient $k(kg{\cdot}sec^2/m^4)$ was compared with the factors influencing it by reusing the experimental data. The comparison gave that the coefficient k might be expressed approximately as a function of BL only and so the resistance R (kg) as $$R=18{\alpha}B^{0.5}L\;v^{1.5}$$ where L (m) was the made-up total length of nets and $\alpha=S/BL$. But the values of a in the nets did not deviate largely from their mean, 0.48, for all the nets and so the general expression of R (kg) for all the bottom trawl nets could be written as $$R=9\;B^{0.5}\;L\;v^{1.5}$$.

본 연구에서는 유수저항과 해저 마찰력을 동시에 받는 저층 트롤그물의 예망저항을 정도 높게 표현해낼 목적으로, 전보에서 구한 유수저항만을 받을 때의 저항식에 해저 마찰력의 영향을 추가하고, 지금까지 행해진 실험 결과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벽 면적이 $S(m^2)$ 되는 저층 트롤그물이 예망속도 $\nu(m/sec)$에서 받는 예망저항 R(kg)은 그물 입구의 단면적을 $S_m\;(m^2)$, 흐름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그물의 총 투영면적을 $S_n\;(m^2)$, 자루그물 앞끝의 완성 둘레를 B(m)라 할 때 $$R=4.5(\frac{S_n}{S_m})^{1.2}S\;v^{-1.8}+20(Bv)^{1.1}$$으로 주어졌다. 그러나, 실용적으로는 윗 식보다 $R=kS\nu^2$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실험 결과들을 이 식에 적용하여 저항계수 $k(kg{\cdot}sec^2/m^4)$를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본 결과, k는 근사적으로딜만의 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물의 완성 전장을 L (m)이라 할 때 $S{\propto}BL$이어서 $S/BL=\alpha$라 둘 수 있기 때문에 R(kg)은 근사적으로 $$R=18{\alpha}B^{0.5}L\;v^{1.5}$$으로 표시해도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lpha$의 값은 그물마다 달라 $0.40\~0.55$의 범위이긴 하나 전체 평균치 0.48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저층 트롤그물들을 총괄해서 표시할 때는 $\alpha=0.48$을 적용함으로써 R (kg)을 $$R=9\;B^{0.5}\;L\;v^{1.5}$$ 으로 대신해도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