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pid Oxidation in Roasted Fish Meat II. Rancidity in Roasted and/or Reheated White Musled Fish

어육의 배소에 의한 지질산화에 관한 연구 II. 백색육어의 배소 및 재가열에 의한 지질의 산패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 Ho-S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Ho (Department of Food and Nutrien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HIM Ki-Hw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RYU Hong-Soo (Department of Food and Life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강호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조호성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종호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심기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 류홍수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The tendency of rancidity in roasted and/or reheated yellowfin sole and yellow croaker was investigated as typical white muscled fish.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otal lipid, saturated fatty acid was $27.4\%,\;33.4\%$; monoenoic acid, $36.5\%,\;38.7\%$ and polyenoic acid, $34.5\%,\;26.5\%$ in yellowfin sole and yellow croaker, respectively.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UFA)/saturated fatty acid (SFA) were 2,6, 2.0 and content of total lipid was $1.4\%,\;0.8\%$, respectively. Peroxide content decreased after heating in yellowfin sole while decreased after heating and tended to increase after reheating in yellow croaker. Thiobarbituric acid value increased during roasting and heating in all the samples but decreased after reheating. Acid value increased after roasting, heating and reheating in all samples, particularly higher in yellowfin sole which have a high content of UFA. Conjugated dienes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the repeats of heating, showing more increase in the fillet with Skin than the skinless.

수산물 열처리과정이나 식생활에서 행해지는 배소, 가열 및 재가열 등 연속적으로 또는 시차를 두고 되풀이되는 가열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백색육어인 각시가자미와 조기를 단계적으로 가열처리한 후 지질 산패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경우 각시가자미가 $27.4\%$, 조기가 $33.4\%$였으며 monoene산은 $36.5\%$$38.7\%$였다. 또한 polyene산에서는 각시가자미가 $34.5\%$인 반면 조기는 $26.5\%$였다. 각시가자미와 조기의 불포화지방산대 포화지방산 (UFA/SFA)의 비는 2.6과 2.0이였으며, 총지질함량은 $1.4\%$$0.8\%$였다. 과산화물가는 각시가자미의 경우 배소 후 과산화물가가 증가하였으나, 가열 후부터 감소하였다. 조기의 경우는 배소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물이 가열 후 분해되어 감소하였으나 재가열 후에는 다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초기산화의 진행은 총지질 함량과 polyene산의 조성비에 따라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TBA가는 배소 및 가열 후 증가하였으나 재가열 후 크게 감소하였다. 배소, 가열 및 재가열 후 유리지방산의 생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각시가자미가 조기보다 생성된 유리지방산이 많았다. 공역이중결합은 배소처리 후에는 온도에 따른 산화양상은 그다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가열, 재가열처리에 의해 초기 산화가 상당히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