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and Seasonal Patterns of Polychaete Community During the Reclamation and Dredging Acti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ohang Steel Mill Company in Kwangyang Bay, Korea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 JUNG Rae-Ho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HONG Jae-S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LEE Jae-Hac (Biological Oceanography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benthic polychaetes were studied in Aug. 1983 and Feb. 1984 in Kwangyang Bay,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the large-scale reclamation and dredging operations were taking place. Polychaetes were composed of 76 species with a mean density of $342\;ind.{\cdot}m^{-2}$ during the summer 1983 and 77 species with a mean density of $437\;ind.{\cdot}m^{-2}$ during the winter 1984. Community structure indices were applied to the seasonal data. The stations influenced by the Seomjin river are characterized by a low species number and low diversity, while the stations located in channel regions represent high species richness and highdiversity. The inner bay stations showed the intermediate level in terms of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On the basis of taxa composition and abundance in summer, the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live regions. The main factors that govern the polychaete distributions appeared to be the fresh water run-off and bottom sediment composition. However, a slight difference was observed in winter community, and changes in composition of the dominant species were found from Lagis bocki and Chone teres to Glycinde gurjanovae and Heteromastus filiformis. As a result, the broad scale reclamation and dredging activities may have played a role in changes of the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and the dominant species composition in Kwangyang Bay.

본 연구는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해 매립과 준설이 행해지고 있던 시기인 1983년 8월과 1984년 2월에 이와 같은 대규모의 환경교란이 다모류 군집 구조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여름철의 다모류 군집은 총 76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밀도는 $342\;ind.{\cdot}m^{-2}$, 겨울철에는 76종, $437\;ind.{\cdot}m^{-2}$의 밀도를 보였다. 종수 및 밀도의 지역적인 분포 양상은 섬진강 하구역에서는 낮은 종수와 다양도, 수로지역에서는 높은 출현종수와 다양도, 그리고 묘도 서쪽 내만역에 서는 종수, 다양도, 밀도 모두가 중간정도의 값을 기록했다. 하계 다모류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5개의 정점군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광양만에서의 다모류 군집이 섬진강에서 유입되는 담수 및 퇴적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군집의 분석 결과는 하계와는 다소 상이 한 결과를 보였다. 우점종의 조성에 있어서도 1982년도의 조사시 (Choi and Koh, 1984) 우점종이던 Lagis bocki와 Chone teres가 다모류군집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한 반면 본 조사시에는 Glycinde gurjanovae와 Heteromastus filiformis의 개체군은 점차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Shin and Koh (1990)와 Jung et al. (1995)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광양만에서 행해진 대규모의 매립 및 준설은 저서 다모류군집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본 조사기간 동안에는 저서다모류 군집이 서서히 변해가는 과정중의 중간단계에 처해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