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tic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from Korean Oysters, Crassostrea gigas

한국산 참굴(Crassostrea gigas) 미토콘드리아 DNA의 유전적 분석

  • KIM Sang Hae (Department of Biology and institute of Genetic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 PARK Mi Seon (Aquaculture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Young Hun (Department of Biology and institute of Genetic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 PARK Doo Won (Biotechnology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김상해 (인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및 유전공학연구소) ;
  • 박미선 (국립수산진흥원 양식개발과) ;
  • 김영훈 (인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및 유전공학연구소) ;
  • 박두원 (국립수산진흥원 생물공학과)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The genetic different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wo oyster populations (Crassostrea gigas) in Korea were assessed based on the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RFLP) analysis and the restriction patterns of subcloned mtDNA. The restriction fragments of twenty individuals in West Sea revealed an identical pattern, determined by 8 restriction enzymes. On the other hand, two haplotypes having variation at the HindIII site were shown in the specimens from South Sea; minor haplotypes (4 of 20)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individuals in West Sea while major haplotypes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West Sea. It was suggested that oysters (C. gigas) of West Sea might have been introduced to South Sea. Each mitochondrial DNA from two oyster populations in Korea and from one in Japan was divided to three parts and subcloned into pUC19 to use in genetic studies effectively. Restriction map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leavage pattern by multiple restriction enzymes.

한국산 참굴의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의 지역별 참굴을 대상으로 mtDNA 제한효소 절편분석과 클로닝을 수행하였다. 지역별로 각각 20개체의 mtDNA에 대하여 8가지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 절편양상을 분석한 결과 서해안산 참굴에서는 개체간 차이가 없는 단일 양상이었으며 남해안산의 경우는 두 가지 양상을 보였으며 차이는 HindIII 절단양상에서만 나타났다. 그 중 소수 개체들에서 나타난 양상은 서해안산 개체들에서의 양상과 동일하여 남해안에 서해안산 참굴이 유입되어 혼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국산 참굴의 mtDNA를 대장균 E. coli HB101에서 클로닝하여 유전적 분석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전체 mtDNA를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세부분으로 나누어 pUC19 유전자운반체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재조합 DNA를 제한효소들로 절단하여 한국산 참굴 mtDNA의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였다. 남해안산과 서해안산 참굴 mtDNA에서 HindIII 적단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이는 남해안산이나 서해안산에서 염기치환의 돌연변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