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연안 내초도 조간대에 서식하는 왜풀망둑 Acanthogobius elongatus의 섭식생태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elongatus from the Kunsan Coast Intertidal Zone, Neacho-do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발행 : 1997.05.01

초록

조간대에 서식하는 왜풀망둑의 서식지 환경과 섭식생태를 파악하여 연안 생물군집의 먹이사슬에 관한 기초지식을 얻고자, 1993년 7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군산연안의 내초도에서 매월 1회씩 왜풀망둑을 채집하면서 서식지 환경을 조사하고, 위내용물 분석을 통해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기간 동안 조간대의 수온은 $4.5\~33.2^{\circ}C$, 석온은 $3.5\~29.1^{\circ}C$, 염분은 $21.68\~27.41\%_{\circ}$, 해수 pH는 $7.6\~8.1$, 저질 pH는 $8.5\~9.2$, 저질함수량은 $48.5\~76.2\%$ 및 저질의 유기물함량은 $1.67\~2.8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왜풀망둑의 위내용물 중량비는 $1.78\%$, 위만복도도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위만복도는 하루 중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왜풀망둑의 위내용물에서 출현한 먹이생물 중 개체수가 가장 많은 것은 copepods로 $54\%$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계절별 주요 먹이생물의 출현양상은 봄에 Paracalanus parvus, 여름에 Calanus sinicus, 가을에 Acartia sp., 겨울에 Calanus sinicus 등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계절간 먹이생물의 중복도는 봄과 여름 사이에서만 크게 나타났고 나머지 계절 사이에서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체장별 먹이생물의 차이는 거의 볼 수 없었으며, 체장별 주요 먹이생물의 조성을 보면, 주로 copepods, decapods, molluscs 및 cirriped larvae 등의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고, 체장이 커질수록 amphipods, polychaete larvae, isopods, cumaceans 및 stomatopods등의 출현율이 점점 증가하였다. 주요 먹이생물의 중요도지수는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및 Acartia sp. 등의 순이었다.

To know the food chain of an intertidal community,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elongata were studied by analyzing stomach contents. A. elongata were monthly collected and the environment conditions of the habitat were investiga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Naecho-do, Kunsan from July 1993 to June 1994. Ratio of stomach contents to weight of A. elongata was $1.78\%$, and fullness of stomach showed a similar value to ratio of stomach contents to weight. Fullness of stomach was increas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the afternoon. The most important food item was copepods amounting to $54\%$ of the total stomach contents. Of these, Paracalanus parvus was most abundant in spring, Calanus sinicus in summer, Acartia sp. in autumn, and Calanus sinicus in winter. Degree of overlapping for the food items between seasons was not very high, except between spring and summer.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feeding habits among the size groups. For all size groups of A. elongata, the occurrence rates of copepods, decapods, molluscs and cirriped larvae were high. As the fish grows, those of amphipods, polychaete larvae, isopods, cumaceans and stomatopods increased gradually. The importance index of the major food items was in the order of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and Acartia s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