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 November 1994

1994년 11월 동해 중층수의 분포

  • CHOI Yong-Kyu (Kunsan laboratory,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CHO Kyu-Dae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용규 (국립수산진흥원 서해수산연구소 군산분소) ;
  • 조규대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7.01.0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last Sea Intermediate Water (ESIW), CTD measurement was peformed in the last Sea of Korea during $8\~11$ November, 1994. ESIW was $2.0\~2.3^{\circ}C$ in potential temperature, $34.04\~34.06\%_{\circ}$ in salinity and $5.6\~6.1\;ml/l$ in of gen content on the isopycnic surface of 27.2 in potential density. The isopycnic surface of 27.2 which represented the layer of ESIW became shallower from about 200 m depth in the open sea to about 140 m depth near the coast. off the coast of Jukbyun, the 27.2 isopycnic surface was located at the depth of about 120 m and had a little higher potential temperature and salinity, lower oxygen content than those in the open sea. The ESIW on the continental shelf was higher about 0.8 ml/l in AOU, 0.02 in salinity than those of the ESIW in the open sea. These suggest that the ESIW on the continental shelf did not come from the North Korean Cold Water but originated from the open sea.

한국 동해 연안에서의 동해중층수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1994년 11월 5일부터 11일까지 동해 연안의 13개 정점에 대해서 CTD 관측을 행하였다. 동해 중층수는 $\sigma_\theta$가 27.2인 등밀도면상에서 온위가 약 $2.0\~2.3^{\circ}C$이고, 염분이 약 $34.04\~34.06$이었으며, 용존산소가 $5.6\~6.1\;ml/l$로 분포하고 있었다. 동해 중층수의 특성을 나타내는 $\sigma_\theta$가 27.2인 등밀도면은 외양에서 대륙붕으로 오면서 그 깊이는 약 200m에서 약 140m로 얕아진다. 특히 죽변 연안에서 $\sigma_\theta$가 27.2인 등밀도면의 깊이는 약 120m로 얕아지며, 온위가 약 $2.3^{\circ}C$이고 염분이 약 34.07이며 용존산소가 5.5 ml/l로, 외양의 동해 중충수에 비해서 수온과 염분이 다소 높으며, 용존산소가 낮은 수괴 특성을 나타내었다. 대륙붕역에서의 동해 중층수는 외양역의 동해 중층수 보다도 AOU가 약 0.8 ml/l, 염분최소치가 약 0.02 정도 높은 값을 보였다. 이것은 동해 연안 대륙붕역의 동해 중층수가 북쪽에서 직접 남하하는 중층수가 아니라 외양에 기원을 가진 중층수임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