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of osteoarthriti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The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in Kuri-

여성의 골관절염과 골밀도간의 관련성 분석 -구리시민 건강.영양진단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 Sheen, Seu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Lee, Soon-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Min, Byung-Hyun (Department of Orthopedics,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Suh, I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신승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순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민병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서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Previous studies, reporting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osteoarthritis and osteoporosis suggest the existence of possible pathophysiologic mechanisms between them. To examinine the hypothesis that 'bone mineral densities of women with osteoarthriti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without osteoarthritis in Korea', subjects from the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in Kuri city were sampled. Samples were selected through multi-stage sampling frame using established clusters in Kuri city. From August 18 to September 10,1997,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total number of selected sample population (1,656 people), response .ate was 52.4 percent (348 men and 519 women). 420 women who took BMD measurement, radiologic exam, and anthropometric exam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Mean BMD was $0.493g/cm^2$, mean age was 43.0, mean BMI was $23.9kg/m^2$. The number of women who experienced menopause was 106, hysterectomy was 19. There were 0 case of osteoarthritis of hip, 64 cases of osteoarthritis of knee, and 2 cases of osteoarthritis of hand. 2. Univariate analysis results: Mean BMD of women with the osteoarthritis of kne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women without the osteoarthritis of knee(0.4269 vs. $0.5057g/cm^2$). But, there were too few cases of osteoarthritis of hip and hand, so comparative studies of BMD in osteoarthritis of hip and hand could not be conduc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MD among pre-menopause group(0.5204), post-menopause group(0.4206), and hysterectomy group(0.4881).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MD among diabetes group(0.4297), impaired glucose tolerance group(0.4874), and normal group(0.5057). Furthermore, age, parity, BMI, bioimpeda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BMD. 3.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o examin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arthritis and BMD while controlling the other variables' effects which were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But, it was found that osteoarthritis of knee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to BMD anymore. While age and menopaus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BMD. Diabetes, parity, BMI, and bioimpedance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MD. After stratifica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menopau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to each strata. Consequently, age in post-menopause group, age and osteoarthritis of knee in hysterectomy group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BMD.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many results of other previous studies done with white men and women. further studies of biological plausibility to Korean women are recommended. Also it is suggested that longitudinal stud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arthritis and BMD will be valuable.

백인여성들을 대상으로 골관절염과 골다공증 발생사이에 역상관 현상이 존재함을 관찰하고 보고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해 두 질환간 관련성이 존재하지 않나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관련성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골관절염에 이환된 여성의 골밀도가 이환되지 않은 여성의 골밀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을 것"이란 가설을 세우고 구리시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건강 영양진단 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표본인구는 미리 설정된 조사구를 이용한 다단계 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1997년 8윌 18일부터 9월 10일까지의 조사기간 동안, 총 1,656명의 대상자가 선정되었으며 이중 867명이 조사에 응하여 수진율은 52.4%였다. 이 중 여성의 수는 519명이었다. 519명의 여성중 골밀도 측정, 방사선촬영, 신체계측을 모두 시행받은 42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평균 골밀도는 $0.493g/cm^2$, 평균 연령은 43.0세, 평균 신체비만지수는 $23.9kg/m^2$였다. 폐경을 맞이한 사람의 수는 106명,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사람의 수는 19명이었다. 골관절염을 진단할 수 있었던 경우는 고관절염 0례, 슬관절염 64례, 손관절염 2례가 있었다. 2. 단변량 분석 결과: 슬관절염 이환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비이환군에 비해 이환군의 평균골밀도가 유의하게 낮았다(0.4269 대 $0.5057g/cm^2$). 그러나, 고관절염 및 손관절염 이환자는 수가 적어 이환여부에 따른 골밀도 비교분석을 실시하지 못했다. 폐경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폐경전군과 폐경군, 자궁적출군 사이에 평균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5204대 0.4206대 $0.4881g/cm^2$). 또한, 당뇨 이환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당뇨군과 내당력부전군, 정상군 사이에 평균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4297대 0.4874대 $0.5057g/cm^2$). 이외에 연령, 총임신회수, 신체비만지수, 체지방이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다변량 분석 결과: 다른 변수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골관절염과 골밀도간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골밀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던 변수들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 방정식을 만들어 검정하였다. 그 결과, 슬관절염 이환 여부는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과 폐경은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당뇨, 총임신회수, 신체비만지수, 체지방은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대상자를 폐경 여부에 따라 층화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폐경군에서는 연령이, 자궁적출군에서는 연령 및 슬관절염 이환이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백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존의 다수 연구 결과들을 지지하는 내용이 아니다. 우리나라 여성에서 왜 이런 결과가 발생하였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생물학적 개연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 단면조사연구가 아닌 시계열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구 결과를 다시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