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부주(心經附註)의 사상(思想)과 이제마(李濟馬) 사상(思想)과의 비교

The comparison study of the thought of the 『Sim-Kyoung-Bu-Ju』 and Lee Je-ma

  • 김인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이의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고병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Kim, In-tae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Lee, Eui-ju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Koh, Byung-Hee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발행 : 1997.12.30

초록

심경부주(心經附註)의 고찰(考察)과 심경부주(心經附註)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상(思想)과 이제마(李濟馬)의 사상(思想)과의 비교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사람의 마음에는 두 가지의 마음이 존재한다. 이는 심경(心經)에서는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으로, 이제마(李濟馬)는 군자지심(君子之心)과 소인지심(小人之心)으로 표현하였다. 2. 심경부주(心經附註)에서는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은 성인(聖人)과 중인(衆人)을 구별시키는 중요한 요점이 되는데 성인(聖人)의 경우는 이 두 마음을 잘 분별하여 도심(道心)으로 인심(人心)이 인욕(人欲)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는 사람이라 하였다. 이제마(李濟馬)의 경우에서는 군자지심(君子之心)은 역지(易知)이고 소인지심(小人之心)은 난지(難知)라 하고 군자지심(君子之心)이 많은 사람은 군자(君子)이고 소인지심(小人之心)이 많은 사람은 소인(小人)이 된다고 하였다. 3. 이러한 군자(君子)의 경지에 오르기 위해 심경(心經)과 이제마(李濟馬)는 여러 가지 수행 방법을 제시하는데 공통적으로 계신공구(戒愼恐懼)를 말하고 심경(心經)에서는 이러한 계신공구(戒愼恐懼)를 위해서는 경(敬)이 가장 우선이 된다고 하고, 이제마(李濟馬)는 여인상접지성(與人相接之性)과 자기독득지성(自己獨得之性)을 들어서 절불절(節不節), 중불중(中不中)과 지인(知人), 지천(知天)을 말하고 있다. 4. 계신공구(戒愼恐懼)를 통하여 성의(誠意)를 이루고 이것으로 정심(正心)을 하는 것을 심경(心經)은 말하는데 이제마(李濟馬)는 지인(知人)을 통한 치심정기(治心正己)를 말하고 있다. 5. 맹자(孟子)의 사단(四端)은 성(性)을 이루는 중요한 마음의 단초가 되니 확충(擴充)을 해나가야 하는 것이 된다. 이제마(李濟馬)는 격치고(格致藁)에서 이러한 사단(四端)의 사심신물(事心身物)로 분화된 모습을 말하고 이를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는 천인성명(天人性命)으로 표현을 하면서 각각의 심욕(心欲)과 각각의 선(善)한 부분을 말하고 있다.

By the investigation of "Sim-Kyoung-Bu-Ju" and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thought of "Sim-Kyoung-Bu-Ju" and that of Lee Je-ma, I've got the following conclusion. 1. All man have two mind. That is explained that "In-Sim" and "Do-Sim" in the "Sim-Kyong-Bu-Ju", "Kun-Ja-Ji-Sim" and "So-In-Ji-Sim" in the Lee Je-ma. 2. says that "In-Sim" and "Do-Sim" are the important point of the distinguishment of the "Sung-In" from "Jung-In". The "Sung-In" is the man who distinguishes "In-Sim" from "Do-Sim" well, and he always is cautious for "In-Sim"s" falling in desire by the "Do-Sim". In the case of LeeJe-ma,"Kun-Ja-Ji-Sim" is easy to know and "So-In-Ji-Sim" is hard to know. The man of "Kun-Ja-Ji-Sim" being large part is "Kun-Ja" and the man of "So-In-Ji-Sim" being large part is "So-In". 3. To reach the state of the "Kun-Ja", the "Sim-Kyoung-Bu-Ju" and Lee Je-ma present the variant training methods, "Kei-Shin-Kong-Ku" which they have in common. The "Sin-Kyoung-Bu-Ju" presents the "Kyung" firstly for "Kei-Shin-Kong-Ku", Lee Je-ma presents the "Yo-In-Sang-Jep-Ji-Sung" and "Ja-Ki-Tok-Tuk-Ji-Sung" for "Jel-Bu-Jel", "Jung-Bu-Jung", "Ji-In", "Ji-Chen". 4. The "Sim-Kyoung-Bu-Ju" says that establish the "Sung-Ui" by the "Kei-Shin-Kong-Ku", and to "Jung-Sim" by the "Sung-Ui", Lee Je-ma says "Chi-Sim-Jung-Ki" by "Ji-I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