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dictors of Effectiveness on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into Loculated Pleural Effusion.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유로키나제 주입치료의 예후인자

  • Song, Kee-S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ha University Medical School) ;
  • Bang, Jei-S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ha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wak, Seung-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ha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o, Chul-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ha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Chan-Sup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Medical School)
  • 송기산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방제소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곽승민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철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찬섭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Background : As the pleural inflammation progresses, exudative pleural fluid becomes loculated rapidly with pleural thickening. Complete drainage is important to prevent pleural fibrosis, entrapment and depression of lung function. Intrapleural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has been advocated as a method to facilitate drainage of gelatinous pleural fluid and to allow enzymatic debriment of pleural surfa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effectiveness of intrapleural urokinase in the treatment of loculated pleural effusion. Method : Thirty-five patients received a single radiographically guided pig-tail catheter ranging in size from 10 to 12 French. Twenty-two patients ha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and 13 had non-tuberculous postpneumonic empyemas. A total of 240,000 units of urokinase was dissolved in 240 ml of normal saline and the aliquots of 80mL was instilled into the pleural cavity via pig-tail catheter per every 8hr. Effectiveness of intrapleural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was assessed by biochemical markers, ultrasonography, and technical details. A greater than 50% improvement on follow-up chest radiographs was defined as success group. Result : Twenty-seven of 35 (77.1%) patients had successful outcome to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Duration of symptoms before admission was shorter in success group ($11.8{\pm}6.9day$) than in failure group ($26.62{\pm}16.5day$) (P<0.05). Amount of drained fluid during urokinase therapy was larger in success group ($917.1{\pm}392.7ml$) than in failure group ($613.8{\pm}259.7ml$) (P<0.05). Pleural fluid glucose was higher in success group ($89.7{\pm}35.9mg/dl$) than in failure group ($41.2{\pm}47.1mg/dl$) (P<0.05). Pleural fluid LDH was lower in success group ($878.4{\pm}654.3IU/L$) than in failure group ($2711.1{\pm}973.1IU/L$) (P<0.05). Honeycomb septated pattern on chest ultrasonography was observed in six of eight failure group, but none of success group (P<0.05). Conclusion : Longer duration of symptoms before admission, smaller amount of drained fluid during urokinase therapy, lower glucose value, higher LDH value in pleural fluid examination, and honeycomb septation pattern on chest ultrasonograph were predictors for failure group of intrapleural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연구배경 : 흉막의 염증성 변화가 생기면 흉막의 혈관 및 임파관의 투과성의 증가로 인한 혈장단백질의 유입으로 인해 흉막 비후와 격막의 형성으로 인하여 소방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 있어 흉막강내 섬유소용해 치료의 하나로 유로키나제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효과 예측을 위한 지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생화학적 지표들과 초음파검사상의 격막의 정도를 이용하여 유로카나제 치료효과에 대한 예측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4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인하병원에서 소방이 형성된 흉막삼출액 소견을 보인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 초음파검사와 흉막삼출액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고, 1개의 경피적 도관을 삽입하여 배액량이 100ml/day 이하로 감소되면 유로키나제를 주입하였고 배액량이 50ml/day 이하로 측정되면 유로키나제 주입을 중단하였다. 흉부단순촬영 추적검사에서 50% 이상의 폐실질의 확장을 보이면 치료효과군으로, 50% 미만의 확장을 보이면 치료실패군으로 분류하여, 각군들에 대한 초기 흉막 삼출액의 당, 단백질, LDH, ADA, pH, 백혈구 수와 초음파 상의 격막 정도를 무에코형, 선상 격막형, 벌집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대상환자 35명중 치료효과군은 27명 (77.1%)이었고, 치료실패군은 8명(22.9%)였으며, 성과 연령에 있어서의 차이는 없었다. 2) 치료효과군과 치료실패군 사이의 증상발현 기간에 있어서 치료실패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유로키나제 주입치료 기간중의 배액량도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치료효과군에서 $89.7{\pm}35.9mg/dl$, 치료실패군에서 $41.2{\pm}47.1mg/dl$로 치료실패군에서 의미있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LDH는 치료효과군에서 $878.7{\pm}654.3IU/L$, 치료실패군에서 $2711.1{\pm}973.1IU/L$로 치료실패군에서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고(P<0.05), 단백질, pH, ADA, 백혈구수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경피적 도관 삽입을 통한 유로키나제 주입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로 증상발현 기간이 길수록, 흉막삼출액의 당이 낮을수록, LDH 의 수치가 높을수록, 초음파 검사상 격막의 정도가 심할수록 치료가 어려운 것을 나타내는 예측인자임을 추정할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하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