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umer Trends on Dietary and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 for the Convenience Foods

한국형 건강 편의식 개발 방향 도출을 위한 소비자의 식행동 및 인식 조사

  • 윤선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손경희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정수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권대중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8.07.30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emerging consumer trends on dietary and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 for the convenience foods. Self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710 housewiv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nd analyzed statistically.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parts including demographic backgrounds, dietary and food purchasing behaviors, perception for the convenience food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ge, occupation and lifestyle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onsumers' behaviors and perception of dietary lives. Over half of housewives, who are the primary persons responsible for home meal preparation, confessed that they do not enjoy meal planning and preparation any more. An attitude toward in home food prepa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ge groups, working or non-working women and lifestyles. Most of the respondents go shopping for foods whenever they need to or 2-3 times a week. They also did not plan before going foods shopping and purchase decisions were made in-store. They considered quality of foods more important than price. Consumers were not willing to purchase pre-cut packaged vegetables or pre-cooked foods on the market. However, they showed strong desire and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convenience korean foods coupled with high quality.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방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행동과 편의식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함으로써, 한국형 건강 편의식 개발 방향 도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710명의 주부들이 응답한 설문지가 통계학적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일반 사항, 식생활 및 식품 구매 행동과 편의식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일반 사항 중 연령, 취업 여부, 라이프스타일이 응답자의 식행동과 편의식에 대한 인식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이 규명되었다. 식생활 전반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는 것은 주부들이었으나, 이들의 대부분이 식사준비에 대해 즐겁다기보다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태도는 다른 연령군, 취업 여부, 라이프 스타일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장보기 빈도는 필요할 때마다 1주일에 $2{\sim}3$번이 가장 높았다. 또한 미리 식단 계획을 하기보다는 장볼 때 즉흥적으로 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식품 구입시 가격보다는 품질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손질된 야채나 조리된 식품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품질이 우수한 편의식 개발에 대한 요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