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hanges of Seasonning Material of the Mixture of Laminaria and Enzyme Treated Mackerel Meat during Storage

다시마와 효소처리 고등어육 조미소재의 저장중 품질 변화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In-Hak (Department of Fisheries Resource Development, Kangreung National University) ;
  • Hong, Byeong-I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ung, Byung-Ch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ung, Woo-Jin (Department of Food Marketing, Chonan College of Foreign Studies) ;
  • Min, Jin-Gi (Utilization Research Laboratory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Agency)
  • 이강호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정인학 (강릉대학교 수산자원개발학과) ;
  • 홍병일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정병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정우진 (천안외국어전문대학 식품유통과) ;
  • 민진기 (국립수산진흥원 이용가공실)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In this study, the quality stability of a kind of natural seasoning material, the mixture of enzyme treated mackerel meat and Laminaria powder during the storage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TBA(thiobarbituric acid)value, extend of browning, changes in amino nitrogen and chlorophyll a,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ddition of sodium alginates (0.08%) and calcium carbonate (0.02%) seemed effective as a binder to yield clarity of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product. In results, the mixture of Laminaria powder and the enzyme treated mackerel meat added with 0.08% sodium alginate and 0.02% calcium carbonate was more stable in overall quality than the other cases of preparation. And the taste of the mixture could favorably compete with that of dried anchovy extracts.

새로운 형태의 천연조미소재를 개발하여 저장에 따른 품질변화를 갈변도, 아미노질소, TBA가, Chlorophyll a 함량, 관능검사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갈변도는 저장 초기에 제품 A와 제품 B의 산패가 제품 C보다 빨리 진행되어 저장 30일경에 최대값을 보인 반면 제품 C는 저장 40일경에 최대값을 보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아미노질소의 경우 세 시료 모두 큰 차이없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는데, 저장기간 동안 제품 C가 비교적 안정된 값을 보였고, 제품 A와 제품 B는 다소 변화의 차이는 있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chlorophyll a의 함량 변화는 아미노질소값의 결과와 유사하게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저장 50일 후 초기값의 약 $10{\sim}20%$ 정도 감소하였다. 구성지방산 함량은 모두 monoene산, 포화산, polyene산의 차례였고, 주요 구성 지방산은 $C_{16:0},\;C_{16:1},\;C_{18:1},\;C_{20:1},\;C_{20:5}$$C_{22:6}$ 등이었다. 특히 시제품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대표격인 $C_{20:5}$$6.0{\sim}6.5%,\;C_{22:6}$$10.8{\sim}11.4%$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저장 30일 후에도 이 두 지방산의 합이 $13.8{\sim}14.6%$로 소폭 감소하여 큰 변화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