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of Meju Prepar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Soy Sauce)

한국 재래식 간장의 품질 향상을 위한 메주 제조법 개선

  • Im, Moo-Hyeo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Choi, Jong-D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Chung, Hyun-Chae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Lee, Seon-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Lee, Coon-Woo (Kyungsangbukdo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Choi, Che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Choi, Kwang-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임무혁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최종동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정현채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이선호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이춘우 (경상북도 환경보건연구원) ;
  • 최청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최광수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In order to establish the scientific foundations for the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soy sauce) in a semi-pilot scale, meju preparation and kanjang mashing methods were investigated. Two types of meju, one that was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 (CM-meju) and the other that prepared by modified conventional method (MCM-meju), were made and compared their characteristics. The former made of cooked and crushed soybean with a brick shape was fermented at $15{\sim}20^{\circ}C\;and\;40{\sim}50%$ relative humidity (RH) for 30 days in koji room and the latter was fermented at $25{\sim}30^{\circ}C\;and\;80{\sim}90%$ RH seemingly being optimum for the growth of meju-organisms for the same period. The quality of MCM-meju as a raw material for the kanjang preparation was considered to be superior to that of CM-meju as the higher soluble nitrogen and total free amino acids content, the major factor for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meju, were found in the former although the higher total nitrogen content and lower % weight loss were observed in the latter during meju preparation process. The quality of MCM-kanjang with higher total nitrogen, free amino acids, free sugars and the lower residual nitrogen content in cake after separation of kanjang was also found to be superior to that of CM-kanjang in sensory evaluation results.

메주 품질이 한국 재래식 간장의 품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통식 메주(통상 가정에서 만드는 방법으로 제조된 메주, $15{\sim}20^{\circ}C,\;40{\sim}50%$ 상대습도에서 제조, CM-메주)와 전통식 변법메주(미생물 생육에 적당한 온 습도 조건에서 제조된 전통식 메주, $25{\sim}30^{\circ}C,\;80{\sim}90%$의 상대습도로 제조, MCM-메주)를 제조하여 특성을 비교하였고, 이 메주로 간장을 제조하여 성분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메주 제조 후 MCM-메주의 감량율이 28.2%로 CM-메주의 19.2% 보다 높았고, MCM-메주의 총질소 함량은 6.3%, 수용성 질소 2.7%, 20% 염수 가용성 질소 3.3% 이었지만, CM-메주는 각각 7.7, 2.2 및 2.7% 이었다. 총 유리당 함량은 MCM-메주에서 1,238.9 mg%로 CM-메주의 1,954.3 mg% 보다 낮게 나타났고, 이 성분들 중 stachyose, raffinose 및 sucrose의 함량은 MCM-메주에서 높았고, galactose, arabinose 및 fructose의 함량은 CM-메주에서 높았다. 비휘발성 유기산 함량은 MCM-메주에서 739.9 mg% CM-메주에서 1,153.5 mg% 이었으나, 이 중 젖산의 함량은 각각 329.3 mg%와 196.3 mg% 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MCM-메주 5,176.9 mg%, CM-메주 3,866.4 mg% 이었다. 간장 담금시 간장으로 용출되는 메주의 가용성 성분은 간장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CM-메주보다 MCM-메주에서 이들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MCM-메주로 제조한 간장이 CM-메주로 제조된 간장에 비하여 총질소 함량은 각각 1.32와 1.19%, 유리당은 각각 338.0과 249.5 mg%, 유리 아미노산은 2,748.9와 2,499.2 mg%로 높았으나, 젖산의 함량은 CM-메주로 제조한 간장에서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MCM-메주로 제조된 간장의 구수한 맛, 신맛, 짠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유의차가 있어서 CM-메주로 제조한 간장보다 우수하였다. MCM-메주로 제조된 간장이 성분과 기호도에 있어서도 CM-메주로 제조된 간장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