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급 부정교합의 치료후 예후에 관한 후향적 고찰

THE RETROSPECTIVE STUDY ON THE PROGNOSIS OF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S

  • 성재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권오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김상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Sung, Jae-Hyu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Oh-Wo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Doo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8.04.01

초록

본 연구는 치료후 빈번한 재발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후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교정치료후 관찰기간동안 측모와 교합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 안정군(Stable group, n=12)과 그렇지 않고 재발의 경향을 보인 재발군(Relapse group, n=13)으로 나누고, 초진시 계측항목을 이용한 t-test, 상관분석 그리고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하악골의 전후방적인 위치와 관계를 나타내는 항목인 SNA, SNB, ANB, Angle of convexity 그리고 APDI에서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아(p>0.05) 두 군간 전후방적 인 골격 형태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 교합평면의 경사도와 관련된 항목인 Wits, AB to Occlusal plane angle 그리고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에서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p<0.05)재발군의 교합평면이 안정군에 비해 전하방으로 많이 경사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상하치열관계를 나타내는 항목인 Overjet에서 안정군이 재발군에 비해 절대치로 더 커(p<0.01) 전후방 골격부조화에 의한 것이 아닐 경우 치열의 전후방부조화가 클수록 치료후 예후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4. 상관분석결과 Overjet과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p<0.001, p<0.01). 5. 판별에 기여도가 높은 3항목 즉 Overjet, AB to Occlusal paine angle 그리고 Articular angle을 이용한 판별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할 때 본 연구에 사용한 표본의 88%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prognosis of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s. 25 patien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by the stability of dentitional, skeletal and soft tissue profile improvement. One was stable group which consisted of 12 children and the other was relapse group with 13 children. Various measurements in initial lateral cephalogram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both stable and relapse groups, there was not distinct difference in the antero-posterior skeletal relationship (P<0.05). 2. As the result of wits, hn to occlusal plane angle and occlusal plane to mandubular plane angle, the occlusal plane of relapse group was stepper than that of the stable group. 3. I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 overjet and the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p<0.001, p<0.01). 4. The discriminant function was obtained from three major influential measurements; overjet, AB to occlusal plane angle and articular angle, and this function could discriminate correctly in 88% of these sampl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