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laking phenomenon by the reaction between glass and solution

유리와 수용액의 반응에 의한 Flaking 현상 연구

  • 김명석 (두산유리(주) 기술연구소) ;
  • 장원식 (경기대학교 재료공학과) ;
  • 심영재 (경상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
  • 이기강 (경기대학교 재료공학과) ;
  • 김정환 (경기대학교 재료공학과)
  • Published : 1998.02.01

Abstract

We have been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initial pH of the aquous solution,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for the flaking of the soda-lime glass container. Flaking of glass occuurred in the cases of the $121^{\circ}C$, above pH 11 of solution with no $Mg^{2+}$ ions in solution. The pH of the solution approached to pH 10 under the conditions of below pH 9 of start solution. The flaking mechanism of the glass seem to be composed of formation of leached layer of $Ca^{2+}$ and $Na^{2+}$ ion and separation of these layers during the cooling by the difference of thermal expansion between leached layer and glass surface. The leaching of alkali ions in glass depends on the pH condition of the start solution and the temperature. In the case of $Mg^{2+}$ ions are added, $Mg^{2+}$ ions accelerate the flaking of the sodalime glasses and forms the magnesium silicate compound which result in the decrease of the pH of the solution.

용액의 초기 pH, 온도, 반응시간 등이 소다 라임 유리용기의 flaking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용액중에 flaking 현상을 촉진시키는 $Mg^{2+}$ 이온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121^{\circ}C$, 초기 pH가 11이상의 조건에서만 flaking 현상이 방생하였으며, 용액의 초기 pH가 9이하인 경우에는 flaking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용액의 pH가 10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flaking 현상은 유리의 표면부분에서 $Ca^{2+}$$Na^{2+}$ 이온의 용출에 의해 용출층이 형성되고, 냉각시 모유리와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용출층이 박리되어 나타나며, 알카리의 용출은 초기 pH와 온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액에 $Mg^{2+}$ 이온이 첨가된 경우 규산 마그네슘 수화물 형성에 의해서 용액의 pH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flaking 현상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Glass Technology v.13 no.3 T.M. El-Shamy;R.W. Douglas
  2. Glass Technology v.16 no.6 M. Brungs;A. Grigg
  3. J. Amer. Ceram. Soc. v.41 no.11 F.F. Wang;F.V. Tooley
  4. J. Amer. Ceram. Soc. v.26 no.6 A.K. Lyle
  5. Am. Ceram. Soc. Bull. v.46 no.9 F.R. Bacon;G.L. Calcamuggio
  6. 工化 v.61 赤羽政豪;黑澤 章
  7. J. Amer. Ceram. Soc. v.62 Y. Oka;K.S. Ricker;M. Tomozawa
  8. Silicate Science v.Ⅳ W. Eit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