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ified Diagnosis of Flood Possibility by Using Effective Precipitation Index

유효강수지수를 이용한 홍수위험의 정량적 진단

  • 변희룡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정준석 (기상연구소 예보연구실, 연구사)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New diagnosing method o flood possibility was proposed. The method can be processed by following steps: first, decide if current available water resources are above normal or not; second, compute a consecutive period above normal; third, precipitation is accumulate through the period; fourth, daily depletion (runoff and evapotranspiration) amount is subtracted from the accumulated precipitation and remains are translated to one day's precipitation, which is called effective precipitation; and finally, effective precipitation index. the larger effective precipitation index means the higher flood possibility. This method has been applied to the flood event occurr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at late July 1996 and compared with the study by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996). The new method is proven to be much faster in computation, and therefore much better in practical use for emergency situation than current rainfall-runoff models. It is because the new method simplifies some steps of currently used method such as parameter estimation and water level observation. It is also known that new method is more scientific than any other methods that use accumulated precipitation only as it considers the runoff depletion in time

홍수가 발생하기 전에 위험을 진단할 수 있는 기법이 다음의 절차를 따라 마련되었다. 현존 가용 수자원이 평균치 보다 많은 지 여부를 결정한다. 평균치보다 많은 날의 연속기간을 계산한다. 연속된 기간동안 강수량을 누적한다. 누적된 강수량 중에서 일별 감소량(유출 및 증발산등에 의한)을 감한 다음 다시 하루강수량으로 환산한 것이 유효강수량이다. 유효강수량을 다시 계절적, 지역적 평균치와 비교하여 일반화된 수자원의 집중정도 즉 유효강수지수를 구한다. 유효강수지수가 큰 값을 가지면 홍수의 위험은 증대한다. 이 방법은 1996년 7월말 한반도의 경기 강원지역의 홍수사례를 분석한 연구(한국수자원학회, 1996)와 동일한 사례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종래의 강우-유출 모형이 가지는 두 가지 과정, 즉 매개변수 추정의 단계와 수위관측의 단계를 생략하였기 때문에 계산이 신속하게 되어 위급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확인되었다. 두 과정을 생략하고도 유출량이 고려되었기 때문에 강수량만으로 진단하는 방법보다 과학적임이 입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31 no.1 SSARR-8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수계의 저수유출 해석 강주환;이길성;김남일;황만하
  2. 낙동강홍수예경보 건설부
  3. 한강홍수예경보 건설부 한강홍수통제소
  4. '98 한국 수자원학회논문집 v.31 no.1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유출 수문곡선 모의에 관한 연구 안경수;김주환
  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29 no.4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상태공간모형의 결정 이관수;이영석;정일광
  6. '98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강우-유출 예측모형에 퍼지기법의 적용 이정규;김한섭
  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31 no.1 탱크모형의 유출공 송수변화를 고려한 홍수모의 이상호
  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29 no.4 저류함수법의 시변성 매개변수 조정에 퍼지이론 도입에 관한 연구 이정규;이창해
  9. 1994년 학술발표회 논문집(Ⅱ), 대한 토목학회 홍수유출에 Fuzzy 추론의 적용성 이정규;이창해;이종인
  10. 1996년 7월 경기 강원 북부 지역 홍수 피해 한국수자원학회
  11. 10th Conf. of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rological Society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Byun, H. R.
  12. Journal of Climate. American Meterological Sciety. Approved for publication at June 12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Byun, II. R.;Wilhite, D. A.
  13. Hydrologic Systems: Volume Ⅰ. Rainfall-runoff modeling Singh V.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