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zation of Obosan (Dietary Herbs) I. Effects on Survival, Growth, Feed Conversion Ratio and Condition Factor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의 효과 I. 넙치의 생존율, 성장, 사료효율 및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 김동수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 김종현 (국립수산진흥원 거제수산종묘배양장) ;
  • 정창화 (부경대하교 양식학과) ;
  • 이상윤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 협동과정) ;
  • 이상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 협동과정) ;
  • 문영봉 (국립수산진흥원 거제수산종묘배양장)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The effects of differen concentrations of Obosan as a feed additive dietary herb were examined on survival rate, growth, feed conversion ration and condition factor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ffectiveness of dietary Obosan with optimized concentration for 48 weeks were also observed with regard to growth performances and yields. All groups fed diets containing 0.15, 0.3 and 0.6% of Obosan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than control group (P<0.05). Growth, feed conversion ratio and condition factor of olive flounder fed diets containing Obosan were considerably improved when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P<0.05). The 0.3% of dietary Obosan was proven to be the optimal concentration in all parameters tested. The dietary Obosan (0.3%) for 48 week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rval rate than control (P<0.05), and also improved yields in weight gain (19.0% improvement), specific growth rate (4.8%), feed conversion ratio(13.6%) and condition factor (10.8%), significantly (P<0.05).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이 첨가농도별(0, 0.15, 0.3 및 0.6%) 넙치의 생존율 성장, 사료 계수 및 비만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 생존율에 있어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7.7~15.5% 유의하게 높은값(P<0.05)을 보여 어보산이 넙치의 생존율 향상에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체중의 성장은 실험 4중 후부터 대조군와 첨가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P<0.05), 0.3% 첨가군이 가장 높은 성장 증가 효과를 보여 대조군에 비해 27.5%나 더 성장하였다. 실험 전 기간을 통해 어보산 첨가군들의 일일성장률은 대조군보다 6.4~13.9%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P<0.05), 첨가군들의 사료계수도 대조군보다 11.3~26.5% 더 낮아 사료효율이 향상됨을 보였다(P<0.05). 실험종료시 비만도는 0.3% 및 0.6%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3.9% 및 2.9% 더 향상되어(P<0.05), 성장 및 사료계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0.3%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임으로써, 어보산의 넙치 MP 사료에 대한 적정첨가농도는 0.3% 판명되었다. 0.3%의 어보산 첨가사료를 48주간 장기간 공급하였을 때 넙치의 생존율, 성장, 사료효율 및 비만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어보산 첨가군의 생존율은 대조군에 비해 앞서의 실험 결과와 같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체중의 성장은 실험 8중부터 유의한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P<0.05), 실험종료시 첨가군(평균 1,024 g)은 대조군(평균 860 g)에 비해 약 19.0%의 체중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일일성장률과 사료 효율도 첨가군이 각각 4.8% 및 13.6% 더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P<0.05), 실험종료시 첨가군의 비만도도 약 10.8% 더 높게 나타났다(P<0.05).다. Alcohol과 lactone은 저장 중 감소되고 ketone은 증가되었다. 그 이상 AsA가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해 비교적 그 효과가 미흡하였다. 본 실험연국려과에서 옛부터 약재, 식품 보존제로 이용되어온 당귀는 메탄올 및 헥산 분배층에서 인채암세포 4종에 대해 항암효과가 뚜렷하였고 HepG2 세포주에서는 에탄올과 헥산 분배층에서 암예방효과의 지표로 사용되는 quinone reductase 효소활성 유도효과가 아주 좋았으므로 보다 단계적인 물질의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향후 당귀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뿐 아니라 암예방 차원의 건강 천연물로서의 개발 및 응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종한 후 참지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서 용혈반 형성 세포수와 혈청 단백질 중 immunoglobulin의 relative %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비장의 자연 살해 세포의 활성에는 변화를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치의 석유 에델 추출물중에 in vitro에서 인체 장암세포 및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의 증식 억제 및 생체내에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아직 국내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본 기 술의 활용을 넓이고자 한다. within minimum time from beginning of the shutdown.및 12.36%, $101{\sim}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 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0%o의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틸라피아의 평균 신사구체(腎絲球體)의 면적은 담수(淡水)

Keywords

References

  1.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v.50 A study on seedling production of the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Cho, K. C.;J. H. Kim;C. S. Go;Y. Kim;K. -K. Kim
  2. J. Aquacult. v.5 Effects of vitamins and glycyrrhizin added to oxidized diets on the growth and on the resistance to Edwardsiella infec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Jang, S. -I.;J. -Y. Jo;J. -S. Lee
  3. J. Aquacult. v.11 Effects of Obosan supplemented diet on growth, feed conversion ratio and body composi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Kim, D. S.;C. H. Noh;S. -W. Jung;J. -Y. Jo
  4. J. Aquacult. v.9 Effects of dietary herbs on and body composi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Kim, D. S.;J. H. Kim;C. H. Jeong;S. -M. Lee;Y. B. Moon
  5. J. Aquacult. v.7 Production of all-female diploid and triploid populations in Paralichthys olivaceus Kim, D. S.;Y. B. Moon;C. H. Jeong;B. -S. Kim;Y. -D. Lee
  6. J. Aquacult. v.9 Effects of dietary Enteromorpha compressa on growth and blood properties in Israeli strain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Kim, J. -Y.;M. -S. Choi
  7. J. Aquacult. v.8 Effects of a practical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diet ; Comparison with raw fish and moist pellet diet Lee, J. -Y.;S. -M. Lee;I. -G. Jeon
  8. J. Aquacult. v.1 Maturation and spawning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nder captive conditions Min, B. S.
  9. Bull. Jap. Soc. Sci. Fish. v.52 Effect of Ulva-metal supplement to diet on the lipid metabolism of red sea bream Nakagawa, H.;S. Kasahara
  10. The Aquaculture v.30 Effect of feeding of Chlorella-extract supplement in diet on cultured yellow tail-Ⅱ . Effect on resisting power monitored by blood parameters against air-dipping Nakagawa, H.;H. Kumai;M. Nakamura;S. Kasahara
  11. Bull. Jap. Soc. Sci. Fish. v.51 Effect of algae supplemented diet on serum and body constituents of cultured yellow tail Nakagawa, H.;H. Kumai;M. Nakamura;S. Kasahara
  12. Bull. Jap. Soc. Sci. Fish. v.50 Change of body composition during starvation in Chlorella-extract fed ayu Nakagawa, H.;S. Kasahara;A. Tsujimura;K. Akira
  13. The Aquaculture v.30 Effect of feeding of Chlorella-extract supplement in diet on cultured yellow tail- Ⅰ. Growth and blood properties Nakagawa, H.;Y. Inazuka;S. Yamasaki;H. Hirata;S. Kasahara
  14. Nippon Suisan Gakkaishi v.53 Effect of Chlorella-extract supplement to diet on lipid accumulation of ayu Nematipour, G. R.;H. Nakagawa;K. Nanba;S. Kasahara;A. Tsujimura;K. Akira
  15. Nippon Suisan Gakkaishi v.54 Effect of dietary lipid level and Chlorella-extract on ayu Nematipour, G. R.;H. Nakagawa;S. Kasahara;S. Ohya
  16. Bull. Korean Fish. Soc. v.27 Physiological effects of seamustard supplement diet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young rockfish, Sebastes schlegeli Yi, Y. -H.;Y. -J. Chang
  17. Bull. Jap. Soc. Sci. Fish. v.52 Effects of dietary wakame Undaria pinnatifida and Ascophyllum nodosum supplements on growth, feed efficiency, and proximate compositions of liver and muscle of red sea bream Yone, Y.;M. Furuichi;K. Urano
  18.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구기자 투여 및 백신 처리가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효과 권문경
  19. 해양수산통계연보 해양수산부
  20.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나일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면역 반응에 대한 생약재 투여 효과 황미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