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Herzenstein

한국산 꺽지 (Coreoperca herzi)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 Published : 1998.02.01

Abstract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were studied. The eggs were spawned in a one-layer mass, hanging from the underside of a largy stone and guarded by one male. According to the considerable size difference os eggs in the individual ovaries, it was concluded that they spawns several times within a spawning season of May~June. The ripe eggs were demersal and adhesive, and their diameter were 2.60~3.04mm with several oil globule of 0.10~0.64mm. Hatching in the tank with $19.0{\pm}1.0^{\circ}C.$ in men water temperature started from the 380 hours after fertilization. Newly-hatched larvae were measured 6.45~7.34mm in total length (TL, mean : 6.85mm), and mouth and anus were open. Melanophores were present on the head, around the yolk, and on the dorsal part of the abdominal region. 3 days old larvae were measured 7.00~7.40mm in TL (mean : 7.25mm), and they fed Daphnia sp. and Brachionus plicatilis actively. 6 days old larvae transformed to postlarval stage and they were 7.94~10.10mm in TL (mean : 9.00mm). As yolk sac were nearly absorbed, the caudal notochord flex at 45. Aggregate numbers of all fin rays were completed at over 16.90~19.80mm in TL (30 days after hatching), at which time the larvae reached the juvenile stage. In fifty days old larvae(24.60~27.10mm in TL) were similar in body form, lateral line and color to adult.

우리나라 특산 어종인 꺽지의 산란습성, 초기생활사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산란기는 자연 상태에서 5~6월이며, 한 마리의 암컷이 여러 번 산란에 참여한다. 꺽지의 성숙한 어미들은 큰 돌 아래쪽에 알을 한층으로 점착하여 산란하며, 수컷이 부화하여 후기자어기까지 보호한다. 알의 크기는 2.60~3.04mm로 여러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으며, 유구의 크기는 0.10~0.64mm이다. 부화는 사육수온 19$\pm$1.$0^{\circ}C$에서 수정후 380시간째부터 시작되어 392시간만에 완료된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6.45~7.34mm(평균 6.85mm)로 입과 항문이 열려 있고, 흑색소포는 머리부분, 난황 윗부분, 복부의 등쪽에 분포한다. 부화후 3일째 자어는 평균 전장 7.25mm로 이때부터 Daphnia sp.와 Brachionus plicatilis를 왕성하게 섭이한다. 부화후 6일째의 자어는 전장 7.94~10.10mm(평균 9.00mm)로 난황은 대부분 흡수되어 후기자어기로 접어들며, 척색의 끝부분은 45도로 위로 굽어져 있다. 부화후 30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16.90~19.80mm(평균 18.20mm)로 체고는 현저하게 높아지고, 모든 지느러미 줄기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한다. 부화후 50일째의 치어들은 전장이 24.60~27.10mm(평균 25.90mm)로 몸의 형태, 체색 및 옆줄이 완전하게 형성되어 성어에 닮아간다.

Keywords

References

  1. オヤニラミ/Coreoperca kawamebari(Temminck et Schlegel)の生活史 今井貞彦;中原官太郎
  2. 動物學雜誌 v.47 no.559 カウライオヤミみの生活史 內田惠太郎
  3. 韓魚誌 v.9 no.1 소양호산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Pisces, Centropomidae)의 산란 생태와 초기 생활사 이완옥;이종윤;손종정;최낙중
  4. 日水誌 v.61 no.5 アカメの飼育におけ??成長と攝餌特性 田代一洋;岩槻幸雄
  5. 韓國魚圖普 鄭文基
  6. 원색한국담수어도감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7. 한국동물명집 한국동물명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