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omic Layer Depos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antalum Oxide Films Using Ta(OC2H5)5 and $\textrm{NH}_3$

$\textrm{Ta}(\textrm{OC}_{2}\textrm{H}_{5})_{5}$$\textrm{NH}_3$를 이용한 산화탄탈륨 막의 원자층 증착 및 특성

  • 송현정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
  • 심규찬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
  • 이춘수 (지니텍(주)) ;
  • 강상원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 Published : 1998.10.01

Abstract

Ta(OC2H5)5와 NH3를 이용하여 Cycle-CVD법으로 산화탄탈륨 막을 증착하였다. Cycle-CVD법에서는 Ta(OC2H5)5와 NH3사이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한다. 하나의 cycle은 Ta(OC2H5)5주입, Ar주입, NH3 주입, Ar 주입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Cycle-CVD법으로 산화탄탈륨 막을 증착할 때, 온도 $250-280^{\circ}C$에서 박막의 증착 기구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ALD)이었다. $265^{\circ}C$에서 Ta(OC2H5)5:Ar:NH3:Ar:NH3:Ar의 한 cycle에서 각 단계의 주입 시간을 1-60초:5초:5초:5초로 Ta(OC2H5)5 주입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산화탄탈륨 막을 Cycle-CVD법으로 증착하였다. Ta(OC2H5)5주입시간이 증가하여도 cycle 당 두께가 $1.5\AA$/cycle로 일정하였다. $265^{\circ}C$에서 증착된 박막의 누설 전류는 2MV/cm에서 2x10-2A/$\textrm{cm}^2$이었고 열처리후의 산화탄탈륨 막의 누설 전류값은 $10-4A\textrm{cm}^2$ 이하고 감소하였다. 증착한 산화탄탈륨 막의 성분을 Auger 전자 분광법으로 분석하였다. 2$65^{\circ}C$에서 증착한 막의 성분은 탄탈륨 33at%, 산소 50at%, 탄소 5at%, 질소 12at% 이었으며 90$0^{\circ}C$, O2300torr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박막은 탄탈륨 33at%, 산소 60wt%, 탄소 4at%, 질소 3at%이었다. 박막의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불순물인 탄소와 질소의 박막 내 잔류량이 감소하였다. 열처리 후의 박막은 O/Ta 화학정량비가 증가하였으며 Ta의 4f7/5와 4f 5/2의 결합 강도가 열처리 전 박막보다 증가하였다. 열처리 후 누설 전류가 감소하는 것은 불순물 감소와 화학정량비 개선 및 Ta-O 결합 강도의증가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Electrochem. Soc. v.132 no.1 S.Seki;T.Unagami;B.Tsujiyama
  2. IEEE Trans. Elec. Dev. v.43 no.6 K.W.Kwon;C.S.Kang;S.O.Park;H.K.Kang;S.T.Ahn
  3. J. Mat. Sci. v.29 H.S.Moon;J.S.Lee;S.W.Han;J.W.Park;J.H.Lee;S.K.Yang;H.H.Park
  4. Jpn. Jn. Appl. Phys. v.25 no.4 K.Yamagishi;Y.Tarui
  5. J. Electrochem. Soc. v.142 no.5 Kaupo Kukli;Mikko Ritala;Markku Leskela
  6. 한국재료학회지 v.8 no.5 민재식;손영웅;강원구;강상원
  7. Jn. Phys. Chem. v.100 S.M.George;A.W.Ott;J.W.Klaus
  8. Appl. Sur. Sci. v.112 Marian M. Herman
  9. Atomic Layer Epitaxy M.A.Tischler;T.Suntola(ed.);M.Simpson(ed.)
  10. Appl. Sur. Sci. v.103 J.Aarik;K.Kukli;A.Aidla;L.Pung
  11. J. Appl. Phys. v.27 no.4 M.Matusui;S.Oka;K.Yamagishi;K.Kuroiwa;Y.Tarui
  12. Jpn. J. Appl. Phys. v.25 no.4 K.Yamaghishi;Y.Tarui
  13. J. Mat. Sci. v.29 H.S.Moon;J.S.Lee;S.W.Han;J.W.Park;J.H.Lee;S.K.Yang;H.H.Park
  14. J. Electrochem. Soc. v.143 no.3 T.Ayoyama;S.Saida;Y.Okayama;M.Fujisaki;K.Imai;T.Arikado
  15. Physical Review v.155 no.3 John G.Simmons
  16. Jpn. J. Appl. Phys. v.34 W.S.Law;T.S.Tan;N.P.Sandlen;B.S.Page
  17. IEICE Trans. Electron v.E77-C no.3 S.Kamiyama;H.Suzuki;pierre-yves Lesaicherre;A.Ishitani
  18. Jpn. J. Appl. Phys. v.32 no.1B P.A.Murawala;M.Sawai;T.Tatsuta;O.Tsuji;S.Fujita
  19. J. Electrichem. Soc. v.141 no.5 S.Kamiyama;H.Suzuki;H.Watanabe;A.Sakai;H.Kimura;J.Mizuki
  20. J. Appl. Phys. v.55 no.10 G.S.Ohehrlein;F.M.d'Heurle;A.Reis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