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가로경관 향상을 위한 옥외광고물 디자인 정책 방향 연구

The Policy Guideline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Design Study for Street Scened of City

  • 이중엽 (경기도청 행정디자인실)
  • 발행 : 1998.08.01

초록

도시의 옥외광고물은 직, 간접적으로 그 도시의 주체성 확립과, 가로경관을 형성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옥외광고물은 단순히 상업적 수단에 의해 출발하였지만 최근 들어서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다양화된 사회구조 속에서 수많은 업종이 탄생하며, 그에 따라 광고물의 절대적인 종류와 양의 팽창을 가져오게 하였다. 이러한 양적 팽창은 새로운 도시환경 문제로 대두되게 되었으며 옥외광고물의 보다 더 효율적인 관리와 세련되고 합리적인 디자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가로경관이 향상될 수 있는 방향을 설정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가로경관(Street Scenes of City), 옥외광고물(Outdoor Advertising Signs)의 개념과 특성 및 옥외광고물의 영향 등을 알아본 후 현황분석 에서는 현재 우리 나라 옥외광고물법과 외국 옥외광고물법의 특징을 조사 비교하여 보며 또한 도시경관에서 옥외광고물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한 후 옥외광고물의 디자인 관리정책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1)도시의 환경 적, 경관 적 문제해결을 위하여 옥외광고물의 지역별 차별화 유도, (2)비현실적 광고물법은 변화하는 옥외광고물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정이 필요함. (3)관리행정상의 문제는 옥외광고물 행정의 효율화를 통하여 해결해야 한다. (4)광고 제작업체의 문제는 장, 단기 계획으로 유도한다. (5)광고주 및 광고제작 업자의 경관의식과 공동의식 함양을 위하여 경관오염 징수 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렇게 커다란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여 도시경관의 향상과 지역 차별화를 유도하여 보다 더 아름다운 도시경관을 이루고자한다.

Outdoor advertising signs of sity is recorgnized as the most basic element forming street scenes of city as well as establishing the citys identity in firsthand and secondhand. It has just started by commercial measure but recntly, in the rapid economical growth and diversified social structure a grent number of business have been generated so that is brings an absoluce increage of kind and quantity in outdoor advertising signs. Such quantitative increase has caused now envirenmental city problems so a more effective control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nd sophisticatided and logical design is needed. Thus, I would like to set up the direction with street scenes of city can be formed through this study. Firstly, understanding the concept, special features, and strong, weark points of street scenes of city and outdoor advertising signs. Secondly, in present sitiation analysis, studing and comparing the chracteristic of our present outdoor advertising regulations with those of Japanese regulations. Thirdly performing the reserch upon now advertising signs can be influentia in city scenes and thereafter, issuing possible problem censequan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trol policy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s following (1). Leading differentiation of each reggion for the solution of environmental and scenic problem. (2). Non-realistic advertising regulation are needed to be amended for uping changing outdoor advertising signs. (3). Advertising problems should be settleed through effectiveness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dministration. (4). The problem of advertising agenics should be leaded short term and long term plan. (5). Collection of scenic pollution should be operated for building up a scenic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erefore, with these suggestion of clear direction of polish, the improvement of city scenes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followed by activated local autonomy system can be induced so that a more beautiful city scenes can be achivev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