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간의 환경디자인적 가치와 평가모델에 의한 디자인요소 추출

Environmenal Design Value of Underground Space & Design Factor by Evaluation Model

  • 최병오 (연암 공업대학 공업디자인과) ;
  • 채완석 (도립 거창 전문대학 산업디자인과)
  • 발행 : 1998.08.01

초록

도시공간 활용의 효율화를 통한 도시문제의 해결과 지상개발 억제를 통한 도시경관 및 환경보존의 측면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지하공간은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지상 부 도시기능을 지하에 배치함으로써 도시의 서비스, 어메니티, 안정성 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도시공간 구조의 구축을 통하여 교통, 도심 복잡화, 토지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대응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소극적이고 단편적인 개발에 국한되어 있는 현시점에서는 극히 부정적인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필요성에 당면하게 되었다. 이에 지상공간의 공급한계와 이에 따른 지가상승의 문제와 함께 지상환경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지하공간의 개발은 도시변화의 예측을 수반하여 입체적 구성을 위한 장기적인 계힉을 수반하여 입체적 구성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의 환경디자인 가치를 지하공간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검증하고, 환경설계 평가에서 다루어지는 기능적 인자, 기술적 인자, 행태 적 인자를 통해 평가모델을 설정함으로써 지하공간 개발 시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

The underground space which has been highlighted anew in view of urban scener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rough the control of ground development and solution of urban problems through making the utility of urban space efficient can promote the urban service, amenity, stability and others by arranging the urban function of ground area to the underground which is anticipated to be demanding the more in the future an also can be effective measures of confrontation in the solution of traffic, the complex in the heart of the city and lack of land through effectiv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f urban space. But it has been understood to be extremely negative space at this time as limited to negative and fragmentary development and it has faced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pleasant environment by overcoming every problem. After all, through the general research of underground space, this dissertation is reconsidering the development value of environment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in international city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and trying to extract design factors which should be treated in developing the underground space by establishing the evaluation model on the functional, techinical and behavioral elements facto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