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 Use and Greenspace Structure in Seoul - Case of Kangnam-gu and Junglang-gu -

서울시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 강남구 및 중랑구를 대상으로 -

  • 조현길 (강원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권전오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1998.04.0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urban greenspace area and vegetation structure by land use types for Kangnam-gu and Junglang-gu in Seoul different in income and building construction date. The study districts had a similar areal distribution of land use types. Residential lands accounted for about 32~37% of total area, natural lands, 19~22%, commercial and industrial lands(including transportation), 13~18%, and institutional lands, 13~17%. Greenspace covered only 20~30% of urba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in which human activities of living concentrate. Canopy stocking level in urban lands (all land uses except natural and agrecultural lands) was about 39% for Kangnam-gu and 50% for Junglang-gu, showing tree planting potential slightly higher in Kangnam-gu than in Junglang-gu. Woody plant cover was approximately 13%, and tree density was 3 trees/100m$^{2}$ forurban lands in both districts. The tree-age structure was largely characterized by young, growing tree population, and species diversity within a diameter class decreases as the diameter classes get larger. Urban lands of both districts had quite a similar species composition of woody plants (similarity indez of 0.70). Income and bulding construction date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diference between the two districts in vegetation structure for urban lands. Some strategies were ezplored to solve problems found in the present greenspace structures. They included increase of biomass and greenspace area through minimization of unnecessary impervious surfaces, creation of multilayered and multiaged vegetation structures, and avoidance of intensive tree pruning and relocation of above ground utility lines.

본 연구는 소득수준 및 건축년도의 차이가 나타난 서울시의 강남구와 중랑구를 대상으로 토지이용별 녹지면적 및 식생구조의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된 문제점과 그 개선책을 모색하였다. 연구대상구들의 토지이용유형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지가 전체면적의 32~37%, 자연지가 19~22%, 교통 및 상공업지가 13~18%, 그리고 공공용지가 13~17%를 점유하였다. 거주와 활동의 중심이 되는 도심주거지 및 상업지에서의 녹지면적은 단지 20~30%에 불과하였다. 도심지(자연지, 농경지 등을 제외한 타토지이용들)에서의 수관점유율은 강남구가 약 39%, 그리고 중랑구가 50%로서, 향후 수목을 식재할 수 있는 잠재력은 강남구에서 약간 더 높았다. 도심지의 수목피도와 교목밀도는 양 구간 별 차이가 없이 각각 13% 및 3주/100m$^{2}$이었다. 양 연구대상구는 유목내지는 성장과정의 수목들이 우점하는 단령구조를 보였고, 직경이 클수록 종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 구간 도심지 수종구성의 유사도지수는 0.70으로서 그 유사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 및 건축년도의 차이는 수목피도, 수령구조 등을 포함하는 도심지의 식생구조에 있어 연구대상구간 뚜렷한 차이를 야기시키지는 않았다. 녹지구조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책은 다층 및 다령구조로 특징지워지는 식생구조으 다양성 확보, 불투수성 면적의 최소화를 통한 도심내 녹지면적의 증대, 과도한 전정의 회피 및 가공선의 지하매설 등으로 요약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