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혼합모형에서 고정효과의 신뢰구간에 관한 분산성분추정량의 선택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이원혼합모형에서 고정효과의 추정가능한 함수에 대한 신뢰구간을 구하는 경우에 어떤 분산성분추정량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살펴본다 혼합모형에서는 t-분포와 일반화최소제곱추정량을 사용하여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분산성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분산성분을 반드시 추정하여야만 한다. 이 경우 분산성분의 추정량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추정량들인 Henderson의 방법 III 추정량, 사전추측값이 1인 MINQUE 추정량, MLE(최우추정량), REMLE(제한최우추정량)를 이용하여 분산행렬을 추정하고, 신뢰구간의 포함범위확률과 평균길이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살펴본다. 모의실험의 결과는 4가지 추정량 모두 비슷한 신뢰구간의 포함범위확률과 평균길이를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iometrics v.42 Analysis of Data from Incomplete Block Designs Giesbrecht, F. G.
  2. Biometrika v.54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the Mixed Analysis of Variance Model Hartley, H. O.;Rao, J. N. K.
  3. Biometrics v.9 Estimation of Variance and Covariance Components Henderson, C. R.
  4. Commun. Statist. - Theor. Meth. v.17 no.4 Prediction Interval Procedures and Confidence Interval Procedures for Mixed Linear Models Jeske, D. R.;Harville, D. A.
  5. Biometrika v.58 Recovery of Interblock Information When Block Sizes are Unequal Patterson, H. D.;Thompson, R.
  6.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v.1 Estimation of Variance Components - MINQUE Theory Rao, C. R.
  7. Estimation of Variance Components and Applications Rao, C. R.;Kleffe, J.
  8. SAS Users Group International v.16 Some Motivation and Comments on Statistical Supercomputing Schall, M.
  9. Linear Models Searle, S. R.
  10. Linear Models for Unbalanced Data Searle, S. R.
  11. Commun. Statist. - Theor. Meth. v.17 no.4 Mixed Models and Unbalanced Data: Wherefrom, Whereat and Whereto? Searle, S.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