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Venting이 오염토양중 가솔린 성분의 용출성에 미치는 영향: 1. 실험적 고찰

Effect of soil Venting on Dissolution Potential of Gasoline Components in Contaminated Soil: Experimental Observation

  • 발행 : 1998.09.01

초록

주요 토양 및 지하수 오염물질인 가솔린에 대해 순수한 액상으로 존재할 경우와 오염된 토양으로 존재할 경우 물에 대한 용해거동을 각각 살펴보았다. 특히 휘발에 의한 가솔린 성분조성의 변화가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솔린 오염토양을 공기흐름으로 통기시켰을 때 토양 중 용출거동의 변화는 공기 중 휘발농도의 변화양상과 비슷하게 나타나며 그 경향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총량으로서의 가솔린 농도(TPH-GRO)는 휘발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다가 75%정도의 무게감소 이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가솔린 개별성분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분자량이 높을수록 상대적인 농도증가폭이 크고 최고농도에 도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휘발이 진행될수록 공기 중 가솔린 농도가 용출 농도보다 훨씬 빠르게 감소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휘발에 의해 상당량의 가솔린이 제거되었을 경우 잔류가솔린으로 인한 위해성의 초점은 인근 대기오염보다도 지하수 오염에 맞추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influence of venting on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pure gasoline and gasoline contaminated soil was studied. The change of leaching characteristics by venting of contaminated soil column could be characterized by two distinct trends : 1) the leaching concentration in TPH-GRO rapidly decreased with evaporation until the evaporation loss became 75% of the original volume. Afterwards, it gradually decreased. 2) the leaching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components showed initial increase followed by gradual decrease. In general, the relative increase of leaching concentration and the venting time to reach the maximum increased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crease of gasoline concentration in the vented air occurs faster than that in the leaching solution. This indicates that, after removing most of the gasoline by evaporation, the focus of the risk assessment for the residual contaminants should be on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rather than air pollu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