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산지의 수자원보전량 평가용 수문유출모형의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상수리나무에 대한 수간류 및 수관통과우의 물수지식과 수문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부속 용성연습림과 영남대학교 교내 야산에 각각 수관통과우 및 수간류 관측용 야외 실험지를 설치하고, 1995년 9월에서 1998년 6월까지 약 2년 10개월 사이에 이 지역에 내린 다수의 단위강우에 대한 두 수종의 임내우 수량배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임외의 단위강우에 응답하는 두 수종의 수문학적 특성과 임내우 물수지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나무에 있어서 수관통과우와 수간류의 총량은 각각 임외우의 73.8%와 0.8%이였으며 상수리나무는 각각 임외우의 76.9%와 3.8%로 관측되었다. 2. 소나무에 있어서 임외우(Gp)에 대한 수간류(S$_{f}$)와 수관통과우(T$_{f}$)의 회귀식은 각각 S$_{f}$ = 0.01GP -2.05 ($r^2$=0.54) T$_{f}$ = 0.79Gp - 26.04 ($r^2$=0.92)로, 임내우(N$_{r}$)와는 N$_{r}$ = 0.81Gp - 28.09 (r2=0.92)로 추정하였다. 이와 같이 소나무에 있어서 수간류와 수관통과우는 임외우의 양에 정비례하여 증가하였다. 3. 상수리나무에 있어서 임외우(Gp)에 대한 수간류(S$_{f}$)와 수관통과우(T$_{f}$)의 회귀식은 각각 S$_{f}$ = 0.03Gp + 12.25 ($r^2$=0.74) T$_{f}$ = 0.78Gp + 19.75 ($r^2$=0.96)로, 임내우(N$_{r}$)와는 N$_{r}$ = 0.81Gp + 31.99 ($r^2$=0.96)로 구해졌는데 소나무보다 상수리나무에 있어서 수간류와 수관통과우의 증가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수간류 및 수관통과우와 그 영향인자로 평가된 수관투영면적(CA). 흉고직경(DBH), 임외우량(Gp)과의 내부상관분석을 한 결과, 소나무 수간류에는 임외우>수관투영면적>흉고직경의 순으로, 상수리나무 수간류에는 임외우>흉고직경>수관투영면적의 순으로 상관계수 값이 높았다. 그리고 소나무와 상수리나무의 수관통과우는 임외우>수관투영면적>흉고직경의 순으로 상관계수 값이 높았다.상관계수 값이 높았다.
This study, as an essential research to develope a mountainous runoff model,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hydrologic character and water budget equat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Net rainfall quantity division for two species was investigated at Youngsung experiment forest and Yeungnam University for 30 months(Sep. 1995-Jun. 1998).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centages of throughfall and stemflow to gross precipitation are 73.8% and 0.8% in the Pinus densiflora, and 76.9% and 3.8% in the Quercus acutissima, respectively 2. In the Pinus densiflora, regression fomula of stemflow, throughfall, and net rainfall to gross precipitation are S$_{f}$ = 0.01GP-2.05 ($r^2$=0.54) T$_{f}$ = 0.79Gp - 26.04 ($r^2$=0.92), N$_{r}$ = 0.81Gp - 28.09 ($r^2$=0.92). Stemflow and throughfall increased in direct proportion to gross precipitation. 3. In the Quercus acutissima, regression fomula of stemflow, throughfall, and net rainfall to gross precipitation are S$_{f}$ = 0.03Gp + 12.25 ($r^2$=0.74), T$_{f}$ = 0.78Gp + 19.75 ($r^2$=0.96), N$_{r}$ = 0.81Gp + 3199 ($r^2$=0.96),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wo species, gross precipitation has a much larger effect on the stemflow and throughfall of Quercus acutissima than those of Pinus densiflora. 4. In the analysis of intercorrelation between stemflow and throughfall of each species and crown area(CA),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and gross precipitation(Gp),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by following order at each species; Gp>CA>DBH on stemflow of Pinus densinora, Gp>DBH>CA on stemflow of Quercus acutissima, and Gp>CA>DBH on throughfall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ssi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