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드 표면에 사용되는 자갈골재 평가 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rocedure to Identify Gravel Aggregates for Bituminous Surfaces

  • 발행 : 1998.12.01

초록

도로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차량이 적당한 거리에서 정지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적절한 마찰저항이 필요하다. 골재의 마찰저항력은 차량소통의 결과로 시간경과에 따라 마모 및 연마되어 감소하게 된다. 이 연구목적은 현장마찰 저항력을 예측하고 자갈골재간의 마찰저항치의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인디아나 자갈골재 실내시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자갈골재 연구에 대한 접근방법은 첫 번째로 각 각의 구성 암석형태 및 구성비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갈들은 주로 탄산염암 골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마에 의한 저항치의 변화가 심하였다. 자갈을 구성하는 화성암 및 변성암은 이에 비해 연마에 의한 저항치의 변화가 적었으며 전체 골재의 마찰저항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파쇄자갈시료의 초기마찰 저항치 (IEV)와 연마 후 수치 (PV)의 평가는 시료 내 암종의 백분율에 따라 실행되었으며 가중평균이 적용되었다.

Adquate friction resistance is needed to prevent pavement slipperiness and to allow vehicles to stop in a reasonable distance. Performance of the aggregates is reduced over time by wear and polishing as a consequence of vehicular traffic. In this research, the objective was to develop a laboratory method to test Indiana gravel aggregates to predict field performance, and determine causes for the range of values amang gravel aggregates. The assessment of gravel sources was primarily on the basis of individual rock types and those proportions comprising the gravel. Polish and friction values were determined in the laboratory with the British Wheel and Pendulum. The gravel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primarily of carbonate aggregates that showed considerable variability in polishing thresholds. Igneous and metamorphic constituents polished to a lesser degree and are expected to improve overall aggregate performance. Estimates of the IFV (Initial Friction Value) and PV (Polished Value) for crushed gravel samples can be made based on the percentage of rock types present in the sample. A weighted average is used to make this calcul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