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of Osteomyelitis Using a Tc-99m Labeled Antigranulocyte Antibody Immunoscintigraphy

Tc-99m 표지 항과립구항체 면역신티그라피를 이용한 골수염의 진단

  • Kang, Won-Ju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une-Key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eo, Jeong-Seok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Mee-Kyoung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Jae-Mi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Dong-Soo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Hoon (Departments of Orthopedic Surgery,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In-Ho (Departments of Orthopedic Surgery,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yung-Chul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강원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암연구소) ;
  • 정준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암연구소) ;
  • 여정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암연구소) ;
  • 홍미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암연구소) ;
  • 정재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암연구소) ;
  • 이동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암연구소) ;
  • 이상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암연구소) ;
  • 최인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암연구소) ;
  • 이명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암연구소)
  • Published : 1998.08.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Tc-99m labeled antigranulocyte antibody immunoscintigrapy in the diagnosis of osteomyelitis and compare with the results of triphasic bone sca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as 39 patients (22 male, 17 female) who had uncertain diagnoses of osteomyelitis. Fifteen patients had history of orthopedic surgery, and 5 had previous fracture. One milligram of monoclonal antibody against NCA-95 was labeled with 370 MBq of Tc-99m, injected intravenously, and 4 hour images were obtained. Triphasic bone scan images were obtained in 30 patients. The final diagnosis was confirmed by bacteriologic culture, biopsy or long term clinical follow up. Results: Twenty one patients were confirmed to have osteomyelitis (1 acute, 20 chronic). Eighteen patients were without osteomyelitis. Antigranulocyte antibody immunoscintigraphy had a sensitivity of 71% (15/21), and a specificity of 89% (16/18), whil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riphasic bone scan was 93% (13/14) and 38% (6/16), respectively. Antigranulocyte antibody scan showed higher specificity of 100% (11/11) in comparison with 33% (3/9) of triphasic bone scan in patients with history of orthopedic surgery or fracture. Conclusion: Antigranulocyte antibody immunoscintigraphy is more specific than that of triphasic bone scan and may be helpful in patients with history of surgery or fracture. However, sensitivity is lower than triphasic bone scan in the detection of chronic osteomyelitis.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과립구에 존재하는 NCA-95 항원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신티그라피의 골수염의 진단에 대한 유용성과 삼상골스캔을 비교 연구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골수염의 진단이 확실하지 않아서 항과립구항체 면역신티그라피를 시행한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NCA-95 항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1 mg 에 370MBq의 Tc-99m을 표지하여 정맥주사 후 4시간에 스캔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 중 30명에서는 삼상 골스캔이 동시에 시행되었다. 항과립구항체 면역신티그라피의 판독에서는 국소적인 항체 섭취 증가가 있는 경우 골수염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골수염 여부의 최종 진단은 조직 검사, 미생물학적균 동정, 장기간의 임상적 경과 관찰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 대상 환자 39명 중 21명에서 골수염(1급성, 20 만성골수염)이 확인되었고 18명은 골수염이 아닌 다른 골 질환이었다. 항과립구항체 면역 신티그라피에 의한 골수염의 진단의 예민도는 71%, 특이도는 89%이었다. 삼상 골스캔의 예민도는 93%, 특이도는 38%이었다. 항과립구항쳬 면역신티그라피의 특이도는 정형외과적 수술 병력이나 골절이 있었던 경우에 100% (l1/11)로 삼상골스캔의 3375 (3/9)보다높았다. 결론: 항과립구항체를 이용한 면역신티그라피는 골수염의 진단에서 삼상 골스캔 단독 시행할 때 나타나는 위양성례를 줄여 진단의 특이도를 높이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만성골수염의 진단의 예민도는 삼상골스캔보다 낮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