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Quercus mongolica Stand Types at Mt. Joongwang, Kangwon-Do and Determination of Proper Future Tree Density for Forest Tending Work

중왕산(中旺山) 지역(地域) 신갈나무림(林)의 임분형(林分形) 구분(區分) 및 육림작업(育林作業)에 적절(適切)한 미래목(未來木) 본수(本數)의 결정(決定)

  • Choi, Seon Deok (Dep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 Koo (Dep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Ma, Sang Kyu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s Federation, Forest Work Training Center)
  • 최선덕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마상규 (임업협동조합중앙회 임업기계훈련원)
  • Received : 1998.09.07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classify the types of Quercus mongolica stands at Mt. Joongwang and compare their quality, and 2) to determine the proper future tree number of Q. mongolica per ha and the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the future tre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Q. mongolica stands at Mt. Joongwang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pure Q. mongolica stand as stand type I, Q. mongolica - hardwood stand as stand type II, Q. mongolica - Pines densiflora stand as stand type III, Hardwood - Q. mongolica stand as stand type IV, according to mixture rate in stand volume. Stand type IV showed the best quality stem of Q. mongolica among the stand types, and the stem quality of Q. mongolica in Q. mongolica stand mixed with hardwood as stand types II and IV was better than those in pure Q. mongolica stand as stand type I and in Q. mongolica - P. densiflora stand as stand type III. If the management goal for Q. mongolica stand is to produce its high quality-timber, it is desirable to sustain proper mixture rate of Q. mongolica with another hardwoods. The proper number of future trees in pure Q. mongolica stand as stand type I was 122trees/ha and reasonable distance between the future trees was 9.15m. The distance between future trees in other stand types was 7.2m to 9.3m for stand types II and IV, while 8.0m for stand type III. Thus, the classification of Q. mongolica stand type based on stand character and maturity, and proper stem number of future tree and optimum distance between future trees would be a useful forest tending work.

이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 자라는 활엽수림중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임분형을 구분하고 이에 따른 신갈나무의 형질을 비교 분석하며, 육림작업시 적용될 수 있는 적절한 미래목 본수 및 미래목들간의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에 0.05ha 크기의 시험구 22개에 대한 자료조사를 통해 재적혼효율에 따른 임분형을 분류한 결과 중왕산 지역의 신갈나무림은 4개의 임분형(신갈나무 단순림, 신갈나무 - 기타활엽수림, 신갈나무 - 소나무림, 기타활엽수 - 신갈나무림)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신갈나무의 혼효율이 25% 이하인 기타활엽수 - 신갈나무림 임분형에서 신갈나무의 수간형질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신갈나무 단순림이나 신갈나무 - 소나무 혼효림 보다 신갈나무 - 기타활엽수 혼효림에서 신갈나무의 수간형질이 더 좋았다. 그러므로 신갈나무림에 대한 경영목표를 고품질의 목재생산에 둔다면 기타 활엽수와 적절한 혼효를 유지시키는 방향으로 신갈나무의 육림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신갈나무단순림에서의 미래목 본수는 122본/ha이며, 미래목간 간격은 9.15m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분형별 적절한 미래목 간격은 II형과 IV형 임분에서는 7.2m - 9.3m 정도가, III형 임분에서는 8.0m가 적절하며, 신갈나무가 혼효되지 않은 V형 임분에 대하여는 미래목 간격이 7.1m - 9.5m가 적절할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국유림경영현대화 산학협동실연연구

Supported by : 산림청